매일신문

'빨간 마후라' 유치곤 장군 순직 50년 만에 다시 날다

달성군-보존회 13일 기념식…동상 세우고 호국기념관 조성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유치곤 장군 동상, 출격을 앞둔 유치곤 장군, 영화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유치곤 장군 동상, 출격을 앞둔 유치곤 장군, 영화 '빨간 마후라' 포스터. 사진안은 유치곤 장군

#블랙이글스 비행단 축하 비행

대구 달성군과 유치곤장군호국정신보존회는 13일 '빨간 마후라'의 고장인 대구 달성군 유가면에서 '유치곤 장군 순직 50주년 및 호국기념관 개관 10주년' 기념행사를 갖는다.

이날 행사에는 역대 공군 참모총장들과 전'현직 공군 장성들이 참석하는 등 모두 26개의 별이 뜰 예정이다. 영화 '빨간 마후라'의 주인공 배우 신영균 씨의 축하메시지 영상도 방영된다.

특히 2012년 세계 최대 군사에어쇼인 와딩톤 국제 에어쇼에서 대상을 수상한 공군 블랙이글스 비행단이 푸른 창공을 가르며 유 장군의 넋을 기린다. 공군 블랙이글스 비행단은 8대의 T-50기(국산 고등제트기) 편대로 구성돼 있다.

'빨간 마후라'는 신상옥 감독이 1964년 제작한 한국 최초의 항공 영화에서 등장했다. 전투기 조종사들의 전우애와 사랑을 그린 이 작품은 당시 관객 25만 명으로 대박을 터뜨린 영화다.

영화 '빨간 마후라'의 실제 주인공은 대구 달성군 유가면 쌍계리 출신으로 6·25전쟁 당시 203회 출격기록을 세운 유치곤 장군이다.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된 유 장군의 최대 업적은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의 성공이다.

대동강 지류인 남강에 걸린 승호리 철교는 당시 북한의 핵심 후방 보급로였다. 미 제5공군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후방보급로 차단을 위해 36회에 걸쳐 출격했지만 실패를 거듭했다.

미군을 대신해 한국 공군이 임무를 맡았고, 1952년 1월 15일 유치곤 장군이 이끄는 F-51 전폭기 편대가 철교를 두 동강 내는 데 성공했다. 유 장군은 1965년 1월 1일 대구의 제107기지단장으로 재직 중 과로로 39세의 젊은 나이에 순직했다. 유 장군의 아들 유용석(공사 26기) 소령도 1982년 제주도에서 훈련 도중 순직했다.

달성군은 14억원의 예산을 들여 유 장군의 고향인 달성군 유가면 비슬산 입구 4천300㎡ 터에 유 장군 동상과 유품, 전투기 2대 등 전투장비, 6·25전쟁과 안보 관련 자료 등이 전시된 유치곤장군호국기념관을 조성했다.

또 대구보훈청과 달성군은 지난달 '호국영웅 알리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치곤장군호국기념관에서 현풍 방향 620m 구간을 '유치곤길'로 명명했다.

현삼조(82) 유치곤장군호국기념관 명예관장은 "향토 출신인 유치곤 장군이야말로 한국 공군전사에 영원히 기억될 호국 영웅"이라며 "특히 올해는 유 장군의 순직 50주년과 호국기념관 조성 10주년을 맞아 더욱 뜻깊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