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집행유예로 석방될까."
조희팔 다단계 사기 유사수신업체의 범죄 수익금 횡령 혐의로 2일 구속된 기획실장 김모(41) 씨의 기소 전력이 눈길을 끌고 있다.
김 씨는 조 씨 사건으로 이번을 포함해 세 차례나 구속됐다. 기획실장으로 임원진을 도와 각 센터의 교육 일정과 각종 주요 서류 관리를 도맡았던 김 씨는 조 씨의 수족과 같은 역할을 했다.
김 씨는 2008년 처음 처벌을 받았다. 조 씨가 중국으로 밀항한 후 도피 생활을 하던 김 씨는 같은 해 12월 제 발로 경찰서를 찾았다. "도망 다니면 죄가 더 커질 것 같았다"는 것이 자수의 배경. 경찰은 자수한 점을 참작해 불구속 기소했고, 법원은 사기 공범 혐의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김 씨가 다시 등장한 것은 검찰이 지난해 재수사를 벌이면서다. 조 씨가 2008년 6월 고철무역업자(53'구속)에게 범죄 수익금 760억원을 투자하면서 계약서에 김 씨가 투자자로 서명한 것이 드러났다. 또 조 씨가 같은 해 10월 29일 밀항에 앞서 고철무역업자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70억원을 되돌려받는 데도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조 씨는 이 돈을 도피 자금으로 사용했다. 김 씨는 사기 사건이 터진 뒤 고철무역업자가 갖고 있던 범죄 수익금을 조희팔피해자채권단에게 넘기는 역할도 했다. 1심 재판부는 김 씨를 배임과 범죄 수익금 은닉, 횡령 방조 등의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지난달 8일 "모든 일은 조 씨가 시켜서 했다"는 김 씨의 주장을 받아들여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하고 석방했다.
김 씨는 석방된 지 한 달도 되지 못해 또다시 구속됐다. 이번에는 자신의 횡령 혐의다. 경찰은 총괄실장 배상혁(44)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김 씨가 2007년 2월부터 범죄 수익금 수십억원을 빼돌린 혐의를 찾아냈다. 이 돈은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양도성예금증서(CD) 등을 통해 보관했고, 조 씨가 숨진 것으로 전해진 2011년 12월 이후부터 배 씨와 전산실장 정모(52'여) 씨 등이 나눠 가진 흔적을 포착했다는 것이 경찰의 설명이다. 법조계에서는 김 씨의 처벌 수위를 놓고 의견이 엇갈렸다. 앞서 두 차례 처벌을 받은 탓에 이번에도 집행유예로 석방될 것이란 전망과 횡령 액수에 따라 처벌의 수위가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 교차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