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3시 대구 중구 동성로의 한 골목.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곳이지만 젊은 남성 서너 명씩 모여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주변에는 대형 의류매장, 화장품 가게 등이 있어 주위에 청소년, 임산부들이 쉽게 눈에 띄었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희뿌연 연기를 내뱉었다.
인근에 있는 삼덕동 박근혜 대통령 생가터에 들어서자 골목 곳곳에 담배꽁초가 수북이 쌓여 있었다. 최근 타 지역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곳이지만 인근 가게 점원들이 쉬러 나왔다가 담배를 한두 개비씩 피우고 가는 일명 '흡연 아지트'로 변해 있었다. 중구에서 병원을 운영하는 김모(60) 씨는 "인적이 한산하다 싶은 곳엔 어김없이 흡연자들이 와 담배를 피운다"며 "최근 실내 흡연 단속이 강화되자 흡연자들이 상가 화장실에서까지 숨어 피우는 바람에 가게 주인, 손님들의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했다.
대형 빌딩은 물론 음식점, 카페 등 실내 흡연이 전면 금지된 이후 도심 실외 지역이 오히려 담배 연기로 찌들고 있다.
동성로의 한 카페에서 근무하는 백모(33) 씨는 "동성로 금연거리(구 한일극장~중앙치안센터)에서 대놓고 흡연하는 사람은 없어졌지만 구석진 곳에 들어와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로 실제로 흡연 피해가 줄었다는 느낌은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
동성로 상인들은 금연구역을 늘리는 만큼 특정 장소에 일본처럼 흡연 공간을 만들어야 흡연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구청은 도심에 흡연 부스를 설치하거나 흡연이 허용되는 거리를 조성하는 것은 시민들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는 등 시기상조란 입장이다.
중구청 관계자는 "실내 단속에도 한계가 있어 솔직히 골목이나 공터 등에서 담배를 피우는 행위까지 단속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연구역 확대 등 규제 일변도의 금연 정책에 대해 흡연자들은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실내 금연에 이어 담뱃값 인상 등에도 흡연자가 줄지 않는 상황에서 금연구역 확대는 결국 편법 흡연을 부추기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주장이다. 최비오 한국담배소비자협회 정책부장은 "담뱃값 인상분으로 늘어난 세수에 비해 흡연 공간 확대 등 흡연자에 대한 처우는 조금도 개선되지 않았다"며 "지나친 흡연 규제는 기본권 침해 가능성 논란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