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대사 분야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상고사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

논란 적은 분야 대표 집필자 공개

왼쪽부터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
왼쪽부터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

단일 역사교과서 대표 집필자로 4일 공개된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와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는 각각 고대사와 고고학을 전공한 원로 학자다.

신 명예교수는 "현행 교과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며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사실에 입각한 내용으로 우리 역사가 국민에게 가까이 갈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생각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고대사 분야 대표 집필자로 선정된 신 명예교수는 서울대 역사교육과 출신으로 보수적 성향의 주류 사학자로 분류된다. 그는 역사교과서 국정 전환에 찬성해온 것으로 알려져 일찍부터 교과서 집필진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됐다.

신 명예교수는 신라가 백제, 고구려에 비해 발전이 더뎠으며 문명 수준이 미개하고 원시적이었다는 통설에 반기를 들었고, 삼국통일은 한민족의 원형을 이루는 토대로 평가돼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역사교과서 상고사 분야를 쓰게 될 최몽룡 명예교수는 서울대 고고인류학과를 나온 뒤 1972년 26세에 전남대 전임강사로 시작해 1981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대에서 교편을 잡았다. 40년간 교수 생활을 해 '최장수 고고학자'로 불리기도 한다. 저서로는 '한국고대국가 형성론' '인류문명 발달사' '한국 고고학 연구의 제 문제' 등이 있다.

그는 2012년에 열린 정년퇴임식에서 애착이 가는 일로 1988년 3월부터 2011년까지 23년간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편찬에 관여한 것을 꼽기도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