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올해 사과가 풍작을 이루면서 값은 내리고 생산량은 늘어 소비를 두고 농가는 물론 지자체가 고민에 빠졌다. 전국 제1의 생산지인 경북도의 올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 29만t보다 7%쯤 늘어난 31만2천t으로 추산되고 있다. 청송 등 일부에서는 25~30%나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가격은 지난해보다 많이 떨어졌다.
경북도의 올해 사과 생산량은 지난 2009년 30만t 이후 최대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좋은 기상 여건과 발달된 사과 기술 등 덕분이다. 경북 사과 생산량은 2010년 이후 지난해까지 24만~29만t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이를 능가하고 경기 부진과 소비심리 위축까지 겹쳐 판로 전망이 어둡다.
자연히 사과 시세는 덩달아 하락세다. '부사' 품종 사과의 본격 출하를 앞둔 청송에서는 가격 하락 폭이 20~25%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문경 등에서 나는 '양광' 품종은 지난해 10㎏ 한 박스 4만2천여원 하던 것이 현재 2만2천여원으로 절반 값에 팔리는 실정이다. 생산 농민들은 풍작에 따른 가격 폭락으로 생산원가를 걱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지자체는 지역 기관단체나 대도시 출향인 등을 상대로 판로 개척에 나섰다.
풍작의 사과 소비 진작과 농민의 고통을 분담한다는 차원에서 학교급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대구경북의 학교급식 실시 학교는 대구 444개교, 경북 951개교에 이른다. 급식 학생 수만도 대구 32만 명과 경북 31만 명이다. 이들 학생이 주 1회 1개(300g)를 먹으면 1회 소비량은 189t이다. 15㎏ 상자로 1만2천600개에 해당된다. 한 달(5주)이면 945t, 즉 6만3천 상자에 이른다. 올해 초과 생산량 2만2천t의 4%로 소비 촉진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대구경북에는 이미 전례가 있다. 2009년 생산량이 전년보다 3만t 많아 사상 처음 30만t을 넘었을 때다. 판로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도우려 대구경북교육청과 농협이 당시 학생 78만여 명 급식에 사과를 제공했다. 사과 급식은 급식 학생과 생산 농민, 지자체 모두에 도움된다. 아울러 이런 지역 생산 농산물의 급식 소비는 로컬푸드 운동에의 동참이자 지역사회 공동체를 위한 배려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