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물인터넷 연구 통신 주파수 추가 제공

차세대 먹거리 6대 첨단 산업

정부가 6일 열린 제4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무인 항공기와 자율주행차의 시험 사업에 이어 차세대 먹거리로 6대 첨단 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으로 거론된 신(新)산업은 ▷사물인터넷(IoT) 융합제품 ▷3차원(3D) 프린팅 ▷스마트홈 ▷탄소섬유 ▷일체형 태양광 모듈 ▷가정용 전기발전 보일러 등 6개 분야다.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련 부처는 이들 업종에 대한 연구개발(R&D) 기반 자원을 제공하고, 규제 부담은 최대한 낮춰 기업들이 신상품을 쏟아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먼저 미래부는 사물인터넷 발전의 물꼬를 트고자 이 기술의 바탕인 통신 주파수를 추가로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7GHz폭인 '용도 자유대역' 주파수에다 이번 달 8GHz폭 주파수를 더 배분해 모두 15GHz 대역을 사물인터넷 연구자들에게 열어준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침대'가로등'보일러 등 사물을 센터와 무선 통신으로 묶어 건강 관리'치안 감시'에너지 절감 등 서비스를 만드는 것으로, 이런 서비스의 통로 격인 전파부터 넉넉히 마련해 R&D 여건을 개선한다는 얘기다.

집안 기기 간의 호환성이 생명인 스마트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호환성 테스트시설인 'IoT 오픈랩'을 서울 가산디지털단지에 최근 개소해 중소기업에 무료로 개방할 예정이다.

또 조명'실내환기시스템'커튼'전력 차단기 등 스마트홈 장비의 통신 기술을 통일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관련 표준을 제정키로 했다.

신산업 진흥의 또 다른 '지원군'은 임시허가다. 현행 규제 규격에 안 맞아 불법의 멍에를 졌던 새 융합 기술에 대해 최장 2년 동안 임시 승인'등록'인가를 내려 시장 개척의 기회를 주는 제도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