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이조·정재만 선생 기리는 무대
'살풀이' '임이조류 한량무' 선보여
대구시립국악단은 11일(수) 오후 7시 30분 특별기획공연 를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우리나라 전통춤의 대가들을 기리는 무대로 기획돼, 한국 전통춤의 대가 임이조 선생(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전수조교·제97호 살풀이춤 이수자)과 정재만 선생(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의 후학들이 함께 무대를 꾸민다.
공연의 시작은 대구시립국악단 한국무용팀의 '살풀이'가 알린다.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인 '살풀이'춤은 '살을 푼다' 혹은 '액을 푼다'는 의미에서 추던 종교적인 의식을 위한 춤이었다. 흰 치마저고리에 흰 비녀, 흰 명주수건을 사용하며 투박하면서 단순한 디딤새로 인간 감정의 희로애락을 표현한다.
다음으로는 임이조 선생의 아들 임현종(세종대 무용학과 4학년) 씨가 '임이조류 한량무'를 독무로 펼쳐보인다. '임이조류 한량무'는 조선시대 남사당패의 마당극 형식의 춤이었던 것을, 1978년 국립극장 무형문화재 발표회에서 임이조 선생이 처음으로 독자적인 한량의 춤만을 재구성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역동적인 남성 춤의 대명사다.
'임이조류 교방살풀이'는 임이조춤 보존회의 군무로 만날 수 있다. 1978년에 초연된 이 춤은 우리가 흔히 보던 한의 정서와 연관되는 살풀이춤과는 다른 느낌으로 여성의 품위와 격조 있는 분위기를 표현했다.
이어지는 무대는 '정재만류 허튼살풀이'로 정용진(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이 독무로 선보인다. '정재만류 허튼살풀이'는 한국춤의 즉흥성, 흥과 멋, 신명 등을 주제로 1993년 '전통명무 7인전'에서 정재만 선생이 첫선을 보였다. 전통춤의 절제와 엄격한 격식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전통살풀이 기법을 남성적인 허튼가락으로 풀어낸 춤으로, 그의 아들 정용진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또 '정재만류 승무'는 정재만 전통춤 보존회의 2인무로 만날 수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인 '승무'는 한국 춤의 백미이며 한국 춤사위를 총집대성해 놓은 춤으로 질량의 확대가 크고 공간 구성미가 돋보인다.
공연의 마지막 무대인 '태평무'는 대구시립국악단 한국무용팀이 장식한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인 '태평무'는 풍년과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복하는 뜻을 담고 있다.
연출 및 안무를 맡은 채한숙 안무자는 "얼마 전 우리의 곁을 떠난 두 대가의 작품을 조명해 보면서 전통춤의 발전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이번 공연을 기획하게 됐다"고 밝혔다. 일반 1만원, 학생 5천원. 053)606-6193.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