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백두대간 연속성 되살리자…추풍령 생태축 복원 추진

이화령 구간에 이어 국책사업으로…이달 중 7개 기관 참여 조인식 예정

87년 만인 2012년 11월 복원된 백두대간 이화령 고갯길(충북 괴산군~경북 문경시). 매일신문 DB
87년 만인 2012년 11월 복원된 백두대간 이화령 고갯길(충북 괴산군~경북 문경시). 매일신문 DB
이화령 고갯길 복원이후 고라니가 이화령 고갯길 생태통로로 이동하는 장면이 CCTV에 포착됐다. 행안부 제공
이화령 고갯길 복원이후 고라니가 이화령 고갯길 생태통로로 이동하는 장면이 CCTV에 포착됐다. 행안부 제공

지난 2012년 12월 31일, 경북 문경 백두대간 이화령 구간에 설치된 CC(폐쇄회로)TV에 야생동물인 고라니가 이동하는 장면이 찍혔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 도로 개설로 인해 단절된 이후 87년 만에 복원된 이 구간에 야생동물이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정부는 2012년 11월 복원된 이화령 구간에 CCTV 2대를 설치, 야생동물의 이동 상황을 모니터링해왔는데 한 달 만에 고라니의 움직임이 포착됐다. 이후에도 고라니 등 많은 야생동물이 복원된 이화령 구간을 통해 이동하는 모습이 계속해서 포착됐다.

이화령 구간에 이어 김천 추풍령의 생태축을 연결'복원하는 사업도 국책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8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달 중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경북도, 김천시,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자연환경국민신탁 등 7개 기관이 참여하는 '추풍령 생태축 연결'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공동협약(MOU) 조인식이 이뤄질 예정이다.

일제의 경부선 철도 개설로 단절된 백두대간 국토 혈을 연결해 민족정기를 회복하는 것은 물론, 백두대간의 생태 연속성을 유지해내는 것이 이 사업의 취지다. 특히 추풍령은 백두대간 중 유일하게 고속도로, 철도, 지방도, 국도 4호선 등 4개의 도로'철도가 교차하는 생태축 핵심 단절지점으로 꼽힌다.

이와 관련, 중앙정부는 내년부터 2017년까지 2년 동안 국비 105억원을 포함, 총사업비 180억원을 투입해 추풍령에 육교형 생태통로 4곳 등 서식지 복원사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내년 하반기 착공하며, 2018년부터는 각종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경북도는 보고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백두대간 50곳의 생태축 복원을 목표로 복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까지 문경 이화령 구간 등 전국의 10여 곳이 복원됐거나 추진 중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