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거 참패 문재인 2선 후퇴" 野 통합선대위 구성 목소리

비주류-중진급 인사 힘 포태…문재인 "現 체제로 총선 대비"

여야 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공방으로 인해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의 계파갈등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지도체제, 총선 공천방식 등을 둘러싸고 주류와 비주류가 다시 충돌하는 모양새다.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은 9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아침식사 모임을 한 후 문재인 대표를 강도 높게 성토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문재인 대표는 10'28 재'보궐선거 참패에 대해 책임을 지기는커녕 아무런 성찰도 없는 태도로 일관함으로써 지지층을 실망시키고 지지기반의 붕괴를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민집모는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는 통합전당대회를 개최하거나 현재 지도부가 2선 후퇴하고 대표급 인사들이 참여하는 통합선대위 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송영길 전 인천시장 등 당내 50대 중립성향 중진급 인사들 역시 '공동선대위' 구성에 힘을 보태고 있어 친노'주류의 대응이 주목된다.

하지만, 문 대표는 현 체제에서 혁신과 통합을 통해 총선에 대비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혀 양 진영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문 대표는 이날 당무위원회 모두발언에서 "국민이 원하는 혁신의 핵심은 단합"이라며 "우리가 단합해 부단히 혁신하면 국민이 승리할 힘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 박병석'이미경'김성곤'문희상'신계륜 의원 등 당내 중진들은 "(문 대표가) 당 단합을 위해 많은 분들과 대화를 나눠달라"고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갈등을 수습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한편, 새정치연합에선 지난달 중순 80여 명의 현역의원들이 서명한 완전참여형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와 이미 활동에 돌입한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의 활동 범위를 두고서도 주류와 비주류 간 의견이 엇갈려 총선 전까지 불협화음이 이어질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