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및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참석차 14일 출국한다.
박 대통령은 우선 15, 16일 터키 안탈리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어 필리핀 마닐라로 이동, '포용적 경제 및 변화하는 세계 만들기'를 주제로 18, 19일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18일 오후 APEC 기업인 자문위원회(ABAC)와의 대화, 페루 칠레 멕시코 콜롬비아로 구성된 태평양 동맹과의 비공식 대화 일정 등을 소화한다. 19일에는 지역 경제통합을 위한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하고 복원력 있는 공동체 성장 등 2가지 주제로 열리는 세션에 참여한다.
박 대통령은 21, 22일에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3 정상회의, EAS,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21일에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 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22일에는 올해로 창설 10주년을 맞은 EAS에서 북핵 문제와 지역 현안 등에 대한 견해를 밝힐 뒤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 아세안 공동체 출범 및 한'아세안 미래협력 방안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박 대통령은 다자회의 참석 일정을 마친 뒤 23일 귀국한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출국에 앞서 8개 뉴스통신사와의 공동 인터뷰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자꾸 끌고 가는 것은 세계적인 정서와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단순히 한'일 양국 간의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 여성의 인권 문제"라고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가까운 시일 내에 가시적인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며 조속한 결단을 거듭 촉구하면서 "피해자들이 90세 전후의 고령으로 올해만 벌써 여덟 분이 돌아가셔서 이제 마흔일곱 분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문제가 하루빨리 해결되지 않는다면 일본 정부에도 큰 역사적 부담이 될 것이며 일본의 미래세대에도 큰 짐을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