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 의원의 개헌 발언으로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지금은 개헌을 논할 때가 아니다"고 선을 긋는 친박들도 시기와 개헌 방식에 대해 의견이 갈리는 것일 뿐 개헌 자체에는 공감하고 있어 홍 의원의 개헌 애드벌룬 띄우기에 이어 내년 총선을 전후해서는 개헌 논의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홍 의원은 친박계 핵심으로 통하는 전직 당 사무총장 출신이다. 그뿐 아니라 친박 인사들은 비공식 석상에서 개헌론의 필요성을 꾸준히 주장해 왔다. 그가 라디오에서 구체적으로 밝힌 개헌 시나리오는 이원집정부제다. 정치권에선 반기문 대통령과 대구경북(TK)이 기반인 친박 총리 조합이 떠돌고 있다. 청와대와 여권 내 사정에 밝은 한 인사는 "친박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이을 차기 대권 감이 없다. 대통령은 양자(養子)고 총리는 친박의 친자(親子)가 돼 정권을 연장하는 것"이라며 "친박의 불임(不妊)이 원인"이라고 이원집정부제의 등장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친박에선 개헌 발언 타이밍을 놓고 의견이 엇갈린다. 친박계 핵심으로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낸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과 친박계인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홍 의원의)개인 의견"이라며 친박이 친박을 공격하는 모습이다. 청와대도 개헌론 질문에 대해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다른 참모는 "청와대와 아무 상관이 없는 엉뚱한 얘기"라고 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홍 의원의 개헌 발언이 청와대의 의중이 담긴 것인지 아니면 돌출 행동인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여당발 개헌론이 모든 정치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까 봐 우려하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순수하지 못한 의도"라며 "친박계가 영구 집권하려는 생각 아니냐"고 비판했다. 야권 내 대표적 개헌론자인 우윤근 의원은 "개헌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정권 연장을 목적으로 불쑥 청와대가 주도하거나 정파적, 정략적 차원으로 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