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갈라 먹기 판이 된 대구문화재단의 축제 운영

컬러풀페스티벌 등 대구시의 각종 축제 위탁 진행 과정에서 대구문화재단이 규정을 무시하거나 편법을 동원하다 시의회 감사에 적발됐다. 상당수 축제기획자문위원에게 감독직 겸직을 허용해 수백만원의 수당을 부당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근대문화축제 등 일부 프로그램은 분리 발주계약을 금지하는 규정을 무시하고 행사를 여러 개로 나눠 수의계약한 뒤 거액의 진행비를 지급해 특혜 의혹마저 사고 있다. 심지어 본인에게 프로그램 용역을 주고 수천만원의 출연보상비를 받아가는 사례까지 있었다.

이 같은 비리는 비단 대구문화재단뿐 아니라 시 산하 문화기관'단체의 고질적인 병폐로 그동안 여러 차례 지적된 문제다. 여태 시정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대구시가 고강도 감사를 통해 책임을 철저히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재단은 "축제 시일이 촉박해 실무자 중심의 기획자문위원회를 구성하면서 벌어진 일"이라고 해명하거나 "규정을 잘 몰랐다"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시일 핑계를 대지만 애초부터 의도된 일이라는 의혹이 짙다. 재단은 문화예술인뿐 아니라 공무원도 파견돼 있어 실무자가 규정을 모르고 절차를 진행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 소리다. 규정을 벗어났는데도 재단 공무원이 제재하지 않았다는 것은 공무원이 직무를 유기했거나 불법을 방조했다는 소리다.

무엇보다 각종 축제행사가 한결같이 정실 의혹과 불투명한 예산 집행으로 구설에 오르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이러니 특정 인사나 단체에 특혜를 주기 위해 편법을 동원하는 '짬짜미' 행사라는 지탄을 받는 것이다. 이제까지 지자체 행사를 빙자해 실무자들이 개인 잇속을 차리다 적발된 사례도 한두 번이 아니다. 하지만 누구 하나 책임지거나 문책된 사례가 없다. 내부에서 쉬쉬하며 그냥 어물쩍 넘어가면서 이런 비리가 되풀이하는 것이다.

시민 혈세를 투명하게 집행하지 않고 실무자 입맛대로 주물럭대는 것은 누가 봐도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 시민 축제행사에 불'편법을 동원해 떡 가르듯 해온 대구문화재단과 실무자에게 책임을 묻고 두 번 다시 이런 비리가 반복하지 않도록 뿌리를 완전히 뽑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