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건강한 겨울나기] 인다라한의원-안구건조증

피로'노안 인한 안구건조증 한약'침 치료로 거뜬

문진복 인다라한의원 대구점 원장이 진료실에서 환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인다라한의원 제공
문진복 인다라한의원 대구점 원장이 진료실에서 환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인다라한의원 제공

현대인에게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가 안구건조증이다. 예전에는 40'50대 이후 노안과 함께 안구건조증이 많이 나타났으나, 요새는 젊은 10~30대 연령층에서도 안구건조증 환자가 많아지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대부분의 경우 질환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몸이 피로한 경우 피로감을 호소하지만 딱히 어떠한 질환으로 생각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 질 것이라는 생각하는 것처럼 안구건조증도 비슷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 의견을 살펴보게 되면 안구건조증 증상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방치하였을 때 눈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안구건조증, 넌 누구냐?

50대 여성 강명숙 씨는 몇 해 전부터 봄'겨울이면 눈이 침침하고, 뻑뻑해져 일하는 것에 불편을 느낀다. 심할 때는 눈이 콕콕 쑤시는 느낌에다 두통까지 찾아왔다. 그럴 때마다 안과에서는 계절적 요인에다 노안에 따른 안구건조증이라며 인공눈물을 처방해줬다. 그러나 일시적 완화 효과만 있을 뿐이었다.

서양의학에서 건성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Sicca)으로 불리는 안구건조증은 우리 눈의 활동에 필요한 적절한 눈물이 생산되지 않거나, 분비량 부족이나 증발량 과다 현상 때문에 눈물을 구성하는 성분이 불균형해져서 안구가 건조해지는 질환이다.

안구건조증 증상은 기본적으로 눈 건조함, 눈 피로함이 있다. 기본 증상 이외에 따갑거나 아리는 통증, 눈 가려움, 모래나 먼지 등이 들어 있는 것 같은 이물감, 눈 충혈'출혈, 시야의 흐릿함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안구건조증이 오래되고 심해지면 두통이 동반되기도 하고 눈꺼풀 처짐 현상도 나타나게 된다.

◆안구건조증, 왜 생기나?

무슨 병이든 원인만 정확히 알면 의외로 병의 치료는 간단하다.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안구건조증 유발인자는 아주 다양하다. 그렇다면 한의학에서 바라보는 안구건조증에 대한 원인은 무엇이 있을까? 그 해답은 눈의 과로로 인한 눈 피로, 눈의 노화(노안), 과도한 스트레스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오늘날 현대인에게 두드러지는 생활 방식 중 하나는 IT 및 디지털 기기의 활용도가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기의 특징은 '눈'으로 본다는 점이다. 과도한 컴퓨터 사용, 장시간 TV시청, 잔글씨 독서, 스마트폰, 태블릿PC의 잦은 사용 등은 눈을 많이 사용해 과로가 누적되면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눈물의 증발이 과다해진다. 즉 눈의 과로가 안구 건조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눈이 피로해요"라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눈의 과로 때문에 안구 건조가 발생하는 것이다. 심지어 현대인이 많이 착용하는 콘택트렌즈나 라식'라섹 등의 수술 후에도 건조감이 더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나이, 즉 노화 때문에도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 몸은 나이가 들면서 전반적으로 진액이 부족해진다. 눈 역시 예외가 아니다. 눈의 진액인 기초눈물이 부족해지면 안구건조증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간 기능이 울체되면서 간에서 눈으로의 공급이 저하한다. 이럴 때도 눈물 생성이 부족해진다. 또한, 간울(肝鬱)이 오래되면 지속하면 간화(肝火)가 쌓이게 되면서 그 열이 눈으로 올라가 생성된 눈물을 말려서 눈을 건조하게 한다.

◆안구건조증, 이제는 탈출하자!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 치료 방법으로 점안액(인공눈물, 소염제, 항생제 등)을 많이 떠올린다. 그러나 점안액으로는 치료에 한계가 있다. 안구건조 증상이 가벼울 때는 점안액으로 치료 가능성이 있으나 증상이 심해지면 그 정도로는 치료가 어렵다.

실제로 안구 건조증상이 심한 환자 중에 "점안액을 너무 자주 넣게 된다", "점안액을 넣어도 금방 다시 불편해진다", "점안액을 넣어도 아무 효과도 없고 오히려 따갑고 불편하다" 등을 호소하는 이가 많다. 점안액은 인체에서 만들어진 눈물보다 눈 표면을 보호해주는 지속력이 짧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안구건조증이 해결되려면 인체에서 건강한 눈물 생성이 잘되고, 생성된 눈물이 잘 유지 되도록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려면 진액 부족으로 말미암은 기초눈물 생성 부족, 간울로 인한 눈으로의 공급 저하, 간화로 인한 눈물이 마르는 현상을 해결해야 한다. 이런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주된 치료 방법은 한약 복용이다.

한약 복용의 주된 효과는 3가지이다. 먼저 진액을 보충해 기초눈물 생성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트레스 또는 만성피로를 해결해 간울을 해소해준다. 게다가 간화를 제거함으로써 눈물 유지를 원활하게 해준다. 여기에 눈 주변의 주요 혈 자리에 침 치료를 병행하면 눈물 생성을 촉진하고 눈 주변의 피로'긴장감을 해소해줘 일거양득이다.

도움말 문진복 인다라한의원 대구점 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