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설] 지방 홀대하는 언론진흥재단 운영체계 개선하라

한국신문협회 광고협의회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광고 대행 수수료 인하를 비롯한 '정부광고 대행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한국신문협회 광고협의회가 전국의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정부광고 대행제도에 관한 신문광고인의 인식분석'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우선 언론진흥재단이 징수해가는 광고 대행 수수료 10%가 과다하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광고주와 언론사 간 광고 직거래의 경우 언론진흥재단이 지면 모니터링을 통해 일괄적으로 10%의 수수료를 사후 징수하는 것도 매우 불합리한 관행이라는 지적이다. 따라서 수수료 5% 이하로의 인하는 물론 거래 규모 등 지방사와 서울의 신문사의 차이를 고려한 수수료 차등 적용과 총수수료의 50%를 해당 언론사에 환원할 것 등의 개선책을 제안했다.

언론재단이 정부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광고를 독점 집행하며 수수료를 챙기면서도 서울의 특정 언론매체와 재경 언론단체에 대한 편중 지원으로 지역 언론사와 언론단체를 홀대해온 것은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최근 몇 년간 전국 종합일간지와 지역신문 등 85개 신문사에 지원한 200여억원의 지원금 중 수도권의 몇몇 주요 신문사에 대한 지원액만 70억원이 넘는 것만 봐도 그렇다.

이는 지역신문 53개사 지원금을 다 합친 40여억원보다도 30억원가량이나 많은 것으로 수도권과 특정 언론사에 대한 편중 지원 현실과 지역 언론 소외에 따른 열악한 환경을 웅변하는 것이다. 그래서 정부 광고 배정 기준의 합리적인 개선과 함께 광고 대행 수수료에 의존하는 언론재단의 현 운영 체제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광고 집행에 대한 언론재단의 독점적 대행과 수도권 중심 및 특정 언론에 대한 편향 지원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먼저 언론재단이 이렇다 할 역할도 없이 지방 언론사로부터 징수하는 독점 수수료 10%는 반드시 재고해야 할 사안이다. 나아가 이번 기회에 독점 수수료에 대한 인하 조치와 함께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전반적인 재정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