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제 파탄의 도화선, 가계'기업부채 감축 서둘러야

우리 경제 규모에 비해 가계부채, 기업부채 모두 아시아 신흥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1분기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4%로 신흥국 평균인 40%의 2배에 이르는 등 18개 신흥국 중 가장 높았다. 가계부채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잘 말해주는 통계다.

국제금융협회에 따르면 GDP 대비 우리의 가계부채 비율은 세계 금융위기 전의 72%에 비해 12%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말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65%로 사실상 위험 수준에 도달해 가계부채 축소 등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기업부채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GDP 대비 비금융 기업의 부채 비율이 106%로, 선진국의 90%를 크게 웃돌았다. 우리 기업이 내년에 갚아야 할 빚도 모두 210억달러로 18개 신흥국 중 가장 많았다. 지금까지는 저금리 덕에 버텼지만 미국 금리 인상 등 환경이 바뀌면 빚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속출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성장기에는 경제 규모에 비해 부채가 다소 많아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수출'내수의 동반 부진 등 기업과 가계 수익이 쪼그라드는 저성장기 때의 과도한 부채는 시한폭탄과 마찬가지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그저께 경제 정책 방향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내년에 공공 부문의 주도로 새 성장 전략을 세워 내수 중심의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년 성장률 3% 달성이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대외 경제 여건 등을 봤을 때 큰 기대를 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특히 서비스산업발전법 등 각종 일자리 법안들이 국회에 4년 넘게 발이 묶여 있는 상황인 데다 4대 구조개혁도 지지부진해 전망은 더욱 어둡다.

만약 중국 경기 둔화 등 세계경제 회복이 계속 지연되고, 미국 금리 인상 등 변수가 작용하면 기업과 가계 모두 부채상환 압박으로 큰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기업이 유동성 위기나 신용 위험에 몰리지 않도록 만반의 대비를 해야 한다. 특히 빚으로 연명하는 좀비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서두르고 가계부채 구조 개선에도 전력을 쏟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