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윤곽 드러낸 K2 이전, 차질 없게 정부와 협력해야

대구시의 대표적 숙원사업인 'K2 공군기지' 이전 계획이 윤곽을 드러냈다. 대구시는 'K2 이전 건의서' 수정안을 확정해 국방부에 제출했다. 수정안은 이미 국방부, 공군과 충분한 협의를 거친 것이어서 이전 작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수정안을 보면 K2 이전 후 신시가지 규모는 총 면적이 15.3㎢(463만 평)에 이른다. 현재 기지 면적(K2+대구공항) 6.7㎢의 2.3배다. 이 가운데 실제 시설면적은 11.7㎢이고 나머지 3.6㎢는 소음 완충 지역이다. 총사업비는 7조5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사업비는 종전 부지에 대한 개발 수익으로 충당한다. 사업비 충당을 위해 주택건설용지 면적을 당초 건의서에서 밝힌 15%보다 2배인 30%로 늘렸다. 상업 업무용지 면적도 11%에서 14%로 늘어났다. 반면 산업레저 용지는 24%에서 11%로, 기반시설 부지는 50%에서 45%로 줄였다. 국방부는 자문회의와 평가위원회를 열어 타당성을 평가해 이르면 내년 1월쯤 이전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

그래도 난관은 많다. 수정안이 타당성 평가에서 적정 판정을 받더라도 '이전 부지 선정'이라는 최대 난제가 도사리고 있다. 국방부와 공군은 새 기지 건설을 위해 현재 기지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면적의 부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설령 적합한 부지를 찾더라도 그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소음과 재산권 침해 문제로 주민의 반대 목소리가 커질 우려가 크다.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을 대폭 늘린 신시가지 건설 계획이 순조로이 진행될 것인지도 의문이다. 대구시는 자연친화형 미래복합도시인 '대구 휴노믹시티'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주거'상업 시설 면적이 크게 늘면서 일시적 사업성은 좋아질지 몰라도, 쾌적한 주거공간 조성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생겼다.

K2 이전은 대구시민의 오랜 숙원이다. 원만히 사업이 추진돼도 완성은 2025년께나 가능하다. 그러니 한 치의 차질도 빚어서는 안 된다. 예상되는 난관은 이미 드러나 있다.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대구시와 국방부, 공군의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