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IT산업발전 기대 큰 정부전산센터 대구 건립

지역경제 활성화와 IT 인력 활용에 밑거름

예산 확보 위해 지자체·정치권 힘 모아야

제3정부통합전산센터 대구 건립안이 24일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본격적인 추진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정부전산센터는 대구시가 지난 3월 동구 도학동에 입지를 결정하고 2018년 준공을 목표로 적극 추진한 역점 사업이다. 이번에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무난하게 통과해 대구 건립이 가시화된 만큼 이제 내년도 예산 반영을 위해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으는 일만 남았다.

대구센터는 경제성(비용대비 편익)뿐만 아니라 정책적 필요성'지역균형발전성 등을 고려한 정책성 분석에서도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 8만여㎡의 부지에 3만7천여㎡의 규모로 지어질 대구 전산센터는 최대 5만여 대의 전산 장비를 수용할 수 있고 상주 인력도 700여 명에 이른다. 건립에 소요되는 사업비만도 모두 4천609억원에 이르는 국책사업이다.

현재 대전과 광주에 정부통합전산센터가 각각 설치돼 있다. 대구에 제3센터가 들어서면 클라우드'빅데이터 등 최신 IT기술을 집약한 차세대 데이터센터가 될 전망이다. 통합전산센터가 준공되면 앞으로 30년간 약 8조~12조원의 경제적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특히 전산센터가 본격 가동하면 매년 1천억원 규모의 계약과 신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등 지역 IT산업 발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현재 대구경북에 소재한 정보통신 관련 대학'전문대만도 모두 40곳이 넘는다. 매년 수천 명씩 배출되는 정보통신분야 인력들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부전산센터와 같은 국책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구혁신도시에 둥지를 튼 한국정보화진흥원과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지역 IT산업의 생태계 변화와 신규 IT기업 유치에도 청신호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전산센터의 대구 건립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이제 남은 절차는 센터 건립에 필요한 사업비 반영이다. 우선 설계비와 클라우드 환경구축비 등에 156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순조롭게 첫 삽을 뜰 수 있도록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이 다시 한 번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