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의 위계를 낮추고 군 공항 연계성을 반영하자는 부산시의 주장은 가덕도 신공항 유치 전략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대구공항의 기능과 역할을 깎아내려 신공항 유치 과정에서 유리한 입지를 다지기 위한 부산시의 사전 포석적 시도였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지난 2월 국토교통부에 제시한 의견에 대해 "정책이 효율적으로 이뤄지려면 공항의 위상에 맞게 시설 확충 등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데 그 위상은 수요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민간과 군이 함께 쓰는 공항이 많기 때문에 국토부의 민간 공항 정책과 국방부의 군 공항 정책이 서로 조율돼야 한다"며 "원론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부산시가 이 같은 주장을 하는 배경에 신공항 유치 전략이 반영돼 있다는 시각이 많다.
부산시 입장에선 '동남권 내 2개 거점공항(김해, 대구)→신공항은 기능 높인 중추공항→활주로 2본의 밀양 후보지'로 연결되는 논리를 방어하면서, '동남권 내 1개 거점공항(김해)→신공항은 보완적 기능의 거점공항→활주로 1본의 가덕도 후보지'로 이어지는 주장을 펼치기 위한 사전 포석이었다는 분석이다.
실제 부산시는 가덕도 유치를 내세우면서 포화 상태인 김해공항을 보완하는 활주로 1본 규모의 신공항 건설을 주장하고 있다. 더불어 김해공항을 그대로 존속시켜서 가덕도 공항과 역할을 나눠 운영하자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구공항 기능을 일반공항으로 낮추면, 동남권의 유일한 거점공항인 김해공항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가덕도 공항을 짓자는 부산시의 주장에 힘이 실린다고 본 것이다.
또 '군 공항 연계성' 주장은 서병수 부산시장이 최근 제안한 '상생 방안'과 관련 있다는 지적이다.
서 시장은 활주로 수를 2본에서 1본으로 줄여 절약한 건설비를 신공항 건설과 별개 사안인 대구 군 공항(K2) 이전 사업비로 쓰자는 방안을 가덕도 유치 전략으로 내세웠다. 국토부의 공항개발 계획에 '군 공항 연계성'이란 표현을 반영했다면 상생 방안의 정책적 근거를 마련했을 수도 있었던 셈이다.
한편으로 부산시의 고민도 엿볼 수 있다. 바로 가덕도 신공항의 전제인 '김해공항 존치' 주장에는 확장성 부족이라는 한계가 있다는 것. 현재 2.7㎞와 3.2㎞인 활주로를 약 1㎞ 확장하면 항공기가 안전하게 진입하기 위해 북쪽의 신어산과 돗대산, 금동산 등의 절개를 피할 수 없다. 또 활주로 남쪽 끝에서 불과 500여m 떨어진 지점에 남해고속도로가 있다는 점도 확장의 어려움을 더한다.
부산 입장에선 이에 대한 해법이 필요한데 그 가운데 김해공항 내 군 공항(K1) 이전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점에서 '군 공항 연계성'을 주장했다는 해석도 있다. 즉 물리적인 확장이 힘드니 군 공항을 이전해 운영상 수송 능력을 더 늘리는 방법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강주열 남부권신공항범시도민추진위원회 위원장은 "부산시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신공항 필요성을 깎아내리면서까지 가덕도 유치에 몰두한 것은 문제다"며 "유치 자제 합의에도 부산시는 그동안 치밀하게 전략적인 접근을 해온 것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의성에 100만 평 규모 '공항 신도시' 들어선다
文 "尹 흡수통일로 상황 악화…역대 정부 노력 물거품으로"
홍준표 "내가 文 편 들 이유 없어…감옥 갔으면 좋겠다"
"김문기 몰랐다" 이재명 징역 2년 구형…檢 "거짓말 반복, 유권자 선택 왜곡"
대구 아파트값 0.08%↓ 전국서 하락폭 최대…전셋값도 가장 크게 떨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