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다음 달부터 시내버스정류소 정보안내기 통신방식을 4G 기업전용 LTE로 변경한다.
연내에 1천122곳, 2021년까지 1천250곳에 기업전용 LTE(P-LTE)를 설치한다.
새 통신방식은 기업 내 전용 통신망 용도로 개발한 것이다. 기존 ADSL 유·무선 네트워크보다 속도와 품질이 우수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3G WCDMA 방식인 차량 장착 단말기 1천598대도 내년까지 P-LTE로 바꾼다.
P-LTE는 일반 LTE와 분리해 운용하기 때문에 외부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는 등 보안성이 좋다.
시는 회선별 종량제 요금이 데이터 총량제로 바뀌어 연간 1억3천여만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시는 지난 4월 보안성 검토 후 120여곳 버스정보안내기를 LTE로 전환해 3개월간 시험 운영했다.
홍성주 대구시 건설교통국장은 "통신방식 변경 등 버스운행관리시스템을 개선해 더 신속하고 정확한 버스 도착 예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