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에서 두 달여 사이 환자가 주사를 맞은 뒤 숨지는 사고가 4건이나 잇따르자 시민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숨진 환자들의 나이·성별이 모두 다른 데다 진료받은 병원도 다 다른 탓에 원인 추정이 어려워 보건당국의 역학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2일 인천 연수경찰서에 따르면 A(11)군은 11일 오후 3시 38분쯤 인천시 연수구 한 종합병원에서 장염 치료제 수액 주사를 맞던 중 숨졌다.
감기와 복통 증상을 호소하며 이 병원을 찾은 지 30여분 만이다.
앞서 A군은 장염 증상을 보여 한 개인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지만, 상태가 호전되지 않아 이 종합병원을 찾은 것으로 파악됐다.
병원 관계자는 경찰에서 "A군은 피검사에서 염증 수치가 높게 나와 장염 치료제를 섞은 수액 주사를 처방받았다"며 "그러나 30여분 만에 의식을 잃었으며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를 받았지만 끝내 숨졌다"고 진술했다.
인천에서는 이번 사례를 포함해 환자가 병원에서 주사를 맞고 숨지는 사고가 두달여 사이 총 4건 발생했다.
올해 9월 3일 남동구 한 의원에서는 60대 여성 2명이 원기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른바 '마늘주사'를 맞은 뒤 패혈증 쇼크 증상을 보였다. 이들 중 한 명은 병원 치료를 받던 중 나흘 만에 숨졌다. 사인은 '세균성 패혈증'으로 알려졌다.
9월 13일 부평구 한 개인병원에서도 50대 여성이 항생제와 위장약을 섞은 수액 주사를 맞은 뒤 같은 날 오후 6시 25분께 심정지 증상을 보이다가 17분여 만에 숨졌다.
연수구 한 병원에서는 9월 26일 가슴 통증을 호소하고 설사와 복통 증상을 보이던 40대 남성이 주사를 맞은 뒤 2시간 30여분 만에 숨졌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