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신의 여인이 첼로를 켜고, 찰리 채플린의 옷을 입은 아인슈타인이 웃고 있으며, 달밤에 두 남녀가 빈틈없이 꽉 껴안고 있다. 그런가 하면 또 나신의 여인이 자전거를 타거나, 말위에서 한껏 뒤로 누워 달리는 모습이 분명 관능적인데도 눈살을 찌푸리기는커녕 보는 이를 즐겁게 한다.
동원화랑에서 열리는 서양화가 '이석조 회화전'에 전시된 소품을 포함한 작품 30점 중 일부에 대한 묘사다.
작가 이석조(73)는 대구 출신으로 현재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시에 거주하는 재미화가로 세인트 폴 시가지 옆으로 미시시피강이 흘러 스스로를 '미시시피 아티스트'란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다.
이번 회화전의 특징은 기존 화풍을 완전히 털어낸 작가의 최근 5년간의 신작을 주로 선보이며 말과 나신의 여인이 주 소재가 되고 있으며 화폭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모두 노랑머리에 하체가 상체보다 유난히 짧게 묘사되어 있다.
이에 대해 작가는 "말과 여인의 바디라인은 무척 아름답다. 본질적으로 에로티시즘의 상징으로서 손색이 없다. 또 말은 그 움직임에서 여성상과 남성상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밝혔다.
작가는 1988년 조선일보 오픈전을 준비하며 큰 스트레스에 시달렸고 이에 병마가 덮쳐 죽을 고비가 찾아왔을 때 승마로 극복한 경험이 있다. 이때부터 그는 승마를 즐기게 됐고 이후 그의 그림의 소재로 말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거의 독학으로 조각과 그림 수업을 한 이 작가는 1980년 독일로 이주해 3년간 유럽미술 기행을 했다. 이때 루브르 박물관에서 거장들의 작품을 보면서 느낀 것은 미술에서 대상의 재현을 의미하는 리얼리즘은 이제 더 이상 넘을 수 없는 한계에 다다랐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때부터 형태보다 색감에 몰두하게 되면서 동양적 색감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만다라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나에게 그림은 유희이며 화가는 색으로 말한다"
색채의 균형과 색의 절대적인 조화를 추구할 수 있다면 좋은 그림이 될 것이라는 생각은 이후 그의 화론(畫論)이 됐다.
이석조의 그림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화면 속 대상들이 볼륨감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적인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은 그가 회화에 앞서 조소를 먼저 공부했기 때문이다.
"모든 조각은 3차원적인 입체감을 필연적으로 지닌다. 나의 그림 속 대상들도 어차피 입체감을 떼려야 뗄 수 없다."
이 때문에 그의 그림에는 생동감이 넘친다.
이어령 전 초대문화부장관은 "이석조 화백의 그림을 보면 여름 대낮 어느 뜨락에서 번쩍이던 사금파리가 생각난다. 그는 너무나 익숙해진 온갖 제도의 그 딱딱한 표면을 예리한 영혼의 화살촉을 파낸다. 이 화백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 그의 그림은 별들의 무덤인 블랙홀이다. 우리를 저 켠쪽 우주 속으로 끌어들이는 블랙홀이다"고 평가한 적이 있다.
모든 걸 집어 삼키는 블랙홀은 이석조 작품을 감상한 사람이라면 흔쾌히 동의할만한 단어다. 작가의 아주 독특한 미적 감각은 이번 회화전 작품 하나하나가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는 데서도 그 탁월함을 부정할 수가 없다. 여기에 5년 전 사랑했던 미국인 부인과의 사별이 그의 작품세계를 바꿔놓은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작가는 인터뷰 말미에 인물의 특성을 최대한 살린 피카소, 고갱 등의 두상 조각을 고향인 대구에 기증하고 싶다는 말을 남겼다. 전시는 27일(금)까지. 문의 053)423-1300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