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공정율 99%에 임박한 울진 신한울원자력발전소 1·2호기의 내년 가동을 위해 총력전을 펼칠 작정이다.
신한울원전 2기 가동에 따른 지역의 세수가 연간 400억원가량 되는 탓에 가동 지연은 곧바로 지역에 손해로 돌아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6일 경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신한울원전 1호기를 내년 4월 준공해 10월쯤 상업운전에 들어가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2호기 역시 내년 9월 준공한 뒤 후년 8월 상업운전을 개시할 계획이다.
발전소가 준공되면 본격 가동을 위한 시험운전에 돌입, 전력 생산이 시작되기 때문에 사실상 내년이 신한울원전 1·2호기 가동의 원년이 된다는 게 경북도의 얘기다.
신한울원전 1·2호기는 각각 140만Kwh 규모로 2010년 4월 착공해 현재 공정율 98.3%를 기록하고 있다.
두 발전소가 가동 후 90%의 이용률을 기록하면 지역자원시설세 220억원, 각종 지원사업 110억원 등 최대 400억원가량의 법정지원금이 지역에 돌아온다.
경북도는 이 지원금이 침체한 울진지역 경제를 살릴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신한울원전의 내년 가동이 미뤄지지 않도록 힘을 쏟을 방침이다.
애초 신한울원전 2기는 올해 10월까지가 사업기간이었지만 2016년 경주지진이 발생하자 정부가 부지 안전성 평가 등을 위해 기간을 연장했다.
경북도는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지연이라면 몰라도 이번 정부의 탈원전 기조가 신한울 1·2호기 가동을 위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 절차 등에 악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신한울원전 1·2호기 가동이 혹여라도 늦어지지 않도록 지역 주민은 물론 정치권, 행정주체 모두 의지를 모아야 한다"며 "도는 대정부 건의는 물론 지역 여론 수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