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600만 가구를 넘어섰다. 50대 이상 1인 가구가 전체 1인 가구의 40% 가까이 차지했고, 1인 가구의 40%는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3일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2015년 500만을 돌파했던 1인 가구 수가 매년 증가해 지난해 600만을 돌파했다.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603만9천 가구로 전년(578만8천 가구)보다 25만1천 가구(4.3%) 증가했다.
통계청은 "청년층이 분가한 뒤 결혼을 늦게 하는 만혼 현상과 고령화 속 사별 등으로 1인 가구 증가폭이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취업자인 1인 가구는 367만1천 가구로 전년보다 13만4천 가구(3.8%) 늘었다.
전체 1인 가구의 60.8%만 일자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40%가 미취업인 상태인 셈인데 고용률이 낮은 60세 이상인 1인 가구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인 가구 고용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울산(-4.1%포인트), 세종(-2.3%포인트), 경남(-2.3%포인트), 부산(-1.6%포인트) 등의 지역에서 고용률 하락폭이 컸다. 전국에서 1인 가구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71.8%)였다.
취업자인 1인 가구(367만1천 가구) 중 임금근로자는 291만2천 가구(79.3%), 비임금근로자는 75만9천 가구(20.7%)였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은 68.4%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임금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원 미만이 3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0만~200만원 미만(21.3%), 300만~400만원 미만(18.8%), 400만원 이상(12.2%), 100만원 미만(11.7%) 등 순이었다.
1인 가구 취업자 3명 중 1명꼴로 200만원 미만의 저임금 취업자다.
다만 100만~200만원 비중이 전년보다 3.3%포인트 낮아진 반면, 300만~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비중은 각각 1.7%포인트, 0.9%포인트 올라갔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성이 42.7시간, 여성이 37.2시간이었다. 남녀 모두 1년 전보다 각각 0.7시간, 0.8시간 줄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208만1천 가구(56.7%), 여자가 158만9천 가구(43.3%)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남자는 4만 가구(2.0%), 여자는 9만3천가구(6.2%)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50~64세가 101만2천 가구(2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83만 가구·22.6%), 40대(71만5천 가구·19.5%), 15~29세(68만7천가구·18.7%), 65세 이상(42만7천가구·11.6%) 순이었다.
1인 가구 취업자가 가장 많이 종사하는 산업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9.7%)이었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19.7%)이 두 번째로 많았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22.2%로 가장 많고, 단순노무 종사자(15.7%), 사무 종사자(14.9%)가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