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 자녀 특혜 의혹과 제4차 추가경정예산안 논란에 이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관련 법안 처리 문제가 정국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8일 "공수처와 검경 수사권조정 등 권력기관 개혁을 필두로 정치 경제 사회 모든 영역에서 흔들림 없이 개혁과제를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 창당 65주년인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20년 집권의 기반이 될 혁신 플랫폼을 만들어 문재인 정부의 성공과 재집권을 이루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공수처 등 등 권력기관 개혁을 앞세워 정치, 경제, 사회 모든 영역에서 흔들림 없이 개혁과제를 완수하겠다는 의지다.
같은 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 여당 간사인 백혜련 의원은 "다음 주 월요일(21일) 공수처법이 법사위 전체회의에 상정된다"며 정기국회 내 처리를 예고했다.
그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야당과의) 협상은 협상대로 진행되는 것이고, 법안에 대한 개정 절차는 절차대로 진행할 생각"이라며 관련 법안 처리 의지를 분명히 했다. 백 의원은 "야당의 후보 추천위원 권한은 그대로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다"며 "야당이 정말 그 권한을 행사하지 않고 태업을 할 때 보완 조치로서 법학계 인사들이 추천 위원으로 위촉되는 것"이라고 압박했다.
원내대표가 목표를 제시하고, 법사위 간사가 뒷받침하다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이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원의 추천을 계속 미루고 있어 공수처 출범이 늦어지고 있다고 판단, '더 기다릴 수 없다'고 보고 밀어붙이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김용민 의원과 박범계 의원. 백 의원 등이 각각 공수처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이 중 김 의원 안에는 '여·야 각 2명'인 추천위원 몫을 '국회 몫 4명'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야당이 공수처장 후보추천 위원을 선임하면 공석인 청와대 특별감찰관 임명,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을 약속해 공수처법 처리의 물꼬를 튼 바 있다. 그러나 여야 합의 이행 없이 공수처법을 상정할 경우 정국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