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교육위원회(이하 국교위)가 강은희 대구교육감을 비롯한 위원 19명의 추천‧지명을 마무리하고, 이달 27일 지각 출범한다.
국교위는 정부와 정파를 초월해 중장기 미래교육 비전을 제시하고 교육의 독립성·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한다는 목표로 신설됐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7월 21일 시행에 들어갔지만, 위원 구성이 늦어졌다.
위원은 장관급 위원장 1명, 차관급 상임위원 2명을 포함해 모두 21명으로 ▷국회가 추천하는 9명(상임위원 2명 포함) ▷대통령 지명 5명(상임위원 1명) ▷교육부차관 ▷시도교육감협의회 대표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교원 관련 단체 추천 2명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추천 1명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추천 1명 ▷시·도지사 협의회 추천 1명으로 구성된다.


지역 인사로는 강은희 대구시육감과 정대화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이 각각 대통령 지명 위원, 국회 추천 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당연직 위원으로는 홍원화 경북대 총장(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과 남성희 대구보건대 총장(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이 확정됐다.
이날 위원 명단이 공개된 이후 일부 위원 구성을 두고 정치색, 교육 전문성과 관련한 논란도 일고 있다.

대통령 추천 상임위원인 위원장으로 지명된 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은 박근혜 정부 시절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을 지내면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참여한 경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
국회가 추천한 나머지 상임위원 2명인 정대화 한국장학재단 이사장과 김태준 동덕여대 교수는 정치색이 뚜렷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윤상현 "美 민감국가 지정된 건 민주당 때문…친북·친중 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