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태원 사고조사 및 안전대책특별위원회(특위)는 22일 서울경찰청을 찾아 "서울경찰청은 용산경찰서와 함께 이태원 사고 대응 과정에서 기본이 무너진 경찰의 모습을 고스란히 노출한 곳"이라며 사전 안전 대책 미흡과 사고 당일 안일한 대응을 질타했다.
이만희 특위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을 방문해 이같이 말하며 "핼러윈 기간 이태원에 다수 인파가 운집할 것을 예측했음에도 사전에 대비하지 못했고, 사고가 발생하자 용산경찰서와 경찰 기동대 지원을 둘러싼 진실 공방을 벌이며 책임을 떠넘기는 모습도 보였다"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서울청의 용산경찰서 정보보고서 삭제 지시 의혹, 참사 당일 서울청 상황관리관 상황실 부재 등을 문제 삼았다.
이 의원은 "인파 사고를 우려한 정보 문건 삭제를 통한 은폐 의혹으로 경찰이 특수본 수사 대상에 포함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청) 상황관리관도 이석이 마치 관행이라고 운운하는 해명은 과연 국민의 생명과 신체 안전을 경찰에게 믿고 맡겨도 될까 의구심마저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태원 특위는 경찰 수사와 별도로 서울경찰청을 둘러싼 기동대 병력지원 논란과 정보문건 삭제 지시, 112종합상황실 부실대응 등에 관한 경위를 살피고 재발방지 대책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 위원장을 비롯해 박형수 부위원장, 최연숙·박성민·조은희 의원, 김병민 비대위원 등 특위 위원들이 참여했다.
경찰 측에서는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을 비롯해 경비부장, 112치안종합상황실장,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 등 서울경찰청 주요 간부들이 자리했다.
김 서울청장은 "서울 치안의 총괄 책임자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이번 사고로 인해 국민들께서 가슴 아파하시는 부분에 대해 깊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김 서울청장은 또 "저와 서울경찰은 어떠한 숨김과 보탬 없이 진실하게 사고 원인을 밝히겠다는 자세에 변함이 없다"며 "재발방지 대책도 차근차근 준비해 다신 이런 사고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용산경찰서에서 만든 핼러윈 기간 안전사고를 우려하는 정보보고서를 박성민 전 서울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이 삭제 지시했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 14일 박 전 부장(경무관)을 대기발령 조치하고 후임으로 김보준 경찰청 공공안녕정보심의관을 발령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보준 신임 정보부장이 참석했다.
참사 당일 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으로 근무한 류미진 전 인사교육과장은 사고 당시 112상황실이 아닌 자신의 사무실에 있었다.
류 전 과장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출석해 '아예 112상황실을 내려가지 않고 그냥 사무실에 계속 있었던 거냐', '사고가 난 지 1시간 24분 정도 후에 상황을 인지했다고 보면 되느냐'는 의원들 질의에 "죄송하다", "그렇다"며 사과했다.
또 '아침에 보고와 지시를 하고 사무실로 가셨다고 했는데 대부분 관례적으로 그런가'라는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죄송하다. 그렇게 알고 있다"며 긍정하듯 답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