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 금오공대 등 5개 대학 '반도체 인력 양성' 공동 대응

금오공대·부산대·서울과기대·아주대·충북대, '반도체 Multiversity' 조성 업무협약 체결
구미시 총력 쏟는 정부의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탄력받을 듯

금오공대, 부산대, 서울과기대, 아주대, 충북대 등 관계자들이
금오공대, 부산대, 서울과기대, 아주대, 충북대 등 관계자들이 '반도체 멀티버시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금오공대 제공

경북 구미의 금오공과대와 부산대, 서울과학기술대, 아주대, 충북대 등 대학 5곳이 반도체 인력양성에 공동 대응한다.

구미시가 유치에 총력을 쏟는 정부의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 대학 5곳은 지난 19일 아주대에서 각 대학의 LINC3.0 사업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멀티버시티(Multiversity)'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발대식을 가졌다.

이날 대학 5곳은 대학별 인프라와 전문 분야의 융복합을 기반으로 반도체 고급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연 협력을 약속했다.

반도체 멀티버시티 조성은 반도체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인재 육성과 산업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자는 취지로 추진됐다.

반도체 산업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선 반도체 소자 제조, 시스템반도체 설계·융합 등 교육과정 개발과 세부 분야 핀셋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적·물적 인프라 여건으로 대학 1곳이 모든 분야를 해결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반도체 멀티버시티 5개 대학은 124명의 반도체 분야 교수와 200여 개의 반도체 실습장비, 7개의 반도체 클린룸, 350건의 산·학·연 연구실적 등을 공유하며 반도체 인재양성 저변을 확대하기로 했다.

금오공대는 반도체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고, 반도체시스템전공을 신설해 실무 기반의 반도체 설계 및 실습 교과목을 운영할 계획이다.

허장욱 금오공대 LINC3.0 사업단장은 "반도체 전문 인재 육성과 산업 생태계 구현을 위해선 각 대학 간 인프라 공유와 협력이 필연적인 상황이다. 다른 대학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대학과 반도체 산업이 지속가능한 혁신성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금오공대, 부산대, 서울과기대, 아주대, 충북대 등 관계자들이
금오공대, 부산대, 서울과기대, 아주대, 충북대 등 관계자들이 '반도체 멀티버시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기념촬영하고 있다. 금오공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