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안정을 위해 편성된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본격적으로 집행되면서 올해 8월까지 나라살림 적자가 88조원대를 기록했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조원 더 악화된 수치로, 코로나19로 대규모 추경이 있었던 2020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적자 폭이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누계 총수입은 431조7천억원, 총지출은 485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수입은 1년 전과 비교해 35조원 늘었다. 국세수입이 260조8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28조6천억원 더 걷혔다. 세외수입은 22조8천억원으로 2조2천억원, 기금수입은 148조1천억원으로 4조2천억원 각각 증가했다.
총지출은 1년 전에 비해 38조4천억원 증가했다. 예산 지출은 344조8천억원으로 33조5천억원 늘었고, 기금 지출은 140조5천억원으로 5조원 증가했다.
그 결과 8월 누계 통합재정수지는 53조7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여기에 사회보장성기금수지 34조6천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88조3천억원 적자다.
관리재정수지는 1년 전 같은 기간(84조2천억원 적자)보다 4조1천억원 더 악화됐다. 수입보다 지출 증가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제외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다.
올해 적자 폭은 코로나19 사태로 3차 추경이 이뤄진 데다 세수 결손까지 있었던 2020년 8월 말 기준 적자(96조원)에 이어 역대 2위 기록이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7월부터 2차 추경 예산이 본격적으로 집행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8월 말 기준 1천260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1천240조5천억원)보다 20조4천억원 증가했다.
국채는 1천259조5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20조3천억원 늘었다. 이 중 국고채권은 1천155조9천억원으로 17조9천억원 증가했고, 국민주택채권은 78조7천억원으로 1조3천억원, 외평채권은 24조8천억원으로 1조2천억원 각각 늘었다.
지난달 국고채 발행 규모는 21조5천억원(경쟁입찰 기준 18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1~9월 국고채 발행량은 187조5천억원으로 연간 총 발행한도(231조1천억원)의 81.6%에 해당한다.
지난달 국고채 금리는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된 가운데 국내 금리인하 기대감 축소 등 영향으로 전월 대비 상승했다. 3년물은 2.582%(전월 2.426%), 10년물은 2.951%(전월 2.815%)를 기록했다.
조달금리는 2.61%로 전월(2.55%)보다 높았고, 응찰률은 264%로 전월(259%) 대비 상승했다. 외국인 국고채는 6조9천억원 순유입됐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배현진, 조국 겨냥해 "강남 집값 올린건 문재인·박원순 커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