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존 지지층 결집만 열 올리는 여권…내년 총선 '최악 시나리오' 걱정

여소야대 뒤집기 안간힘에도 여론 반응 없어
핵심 인사 부적절한 처신에 尹 30%대 낮은 지지율 '발목'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31일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31일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열린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막식'에 참석,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1년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의힘이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을 뒤집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여론은 좀처럼 반응하지 않고 있다. 이러다가 내년 총선이 지난 총선의 재판이 될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여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집권여당은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중도 유권자 설득에 집중해야 하지만 최근 기존 지지층 결집에 더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여기에다 잊을만하면 터져 나오는 당정 간 불협화음과 여권 핵심 인사들의 부적절한 처신 등이 집권당의 입지를 더욱 좁히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치권에선 '죽고 사는'(안보) 문제와 '먹고 사는'(경제) 문제에 대한 가시적인 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중도성향 유권자들을 최대한 품어야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최근 집권 여당에 대한 여론은 차갑다.

리얼미터가 미디어트리뷴 의뢰로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5일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천5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전주보다 0.7%포인트(p) 상승한 36.7%로 집계됐다. 4주 연속 30%대 국정지지율을 기록 중이다. 부정 평가는 지난주 조사보다 0.4%p 오른 61.6%를 기록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정치권에선 현직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최소한 45%를 넘지 않으면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임기 중 총선은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이 노동·연금·교육 개혁 등 시대적 과제를 국정 우선순위로 선정하고 이해당사자들의 반발에도 흔들리지 않고 강경하게 밀어붙이는 뚝심만큼은 인정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미 동맹을 중시하고, 미래를 위해 한일 관계 개선에 앞장서는 국정 기조도 전문가들의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소통과 갈등조정 능력은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당 관계자는 "주69시간 근무를 둘러싼 갈등은 정책홍보의 실패이고 출산 장려정책 가운데 세 자녀 가장 군 면제 아이디어는 당정 간 소통부재가 낳은 참사"라며 "대통령의 추진력이 빛을 발할 수 있도록 당정이 더욱 긴밀히 소통하고 교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집권 여당이 과도하게 친윤의 색깔을 드러내는 것은 총선에서 중도층에게 어필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내년 총선에서 검사들을 대거 공천한다는 소문은 지지층에서조차 비판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현 정부의 정책적 지향이 중도성향 유권자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진다.

총선을 대비하기 위한 진용 구축 과정에서는 불가피하게 핵심지지층에게 신세를 지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제부터는 집토끼보다는 산토끼 몰이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윤 대통령의 멘토를 자임해 온 신평 변호사조차 지난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한국에서의 선거는 보수, 중간층, 진보의 3:4:3의 판에서 중도층의 마음을 누가 더 얻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윤 정부는 지금 과도하게 10분의 3을 이루는 자기 지지층을 향한 구애에 치중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이 정치적 경륜이 풍부한 원로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