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특혜채용 의혹의 장본인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박찬진 사무총장과 송봉섭 사무차장이 25일 사퇴했다.
선관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두 사람은) 그동안 제기돼온 국민적 비판과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고 현재 진행 중인 특별감사 결과와 상관없이 현 사태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퇴한다"고 밝혔다.
특히 선관위는 "최근 드러난 고위직 간부들의 자녀 채용 특혜 의혹 등으로 국민께 큰 실망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그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자세를 한껏 낮췄다.
박 총장과 송 차장은 모두 자녀가 지방 공무원으로 근무하다 선관위 경력직 공무원으로 채용된 사실이 알려져 국민적 공분을 샀다.
박 총장 자녀는 2022년 선관위에 들어와 전남 강진군 선관위에서 근무 중이며 송 차장 자녀는 2018년 채용돼 충북 선관위에서 근무하고 있다.
앞서 김세환 전 사무총장도 지난해 대통령선거 당시 '소쿠리 투표' 논란에 이어 자녀 채용 특혜 의혹까지 불거져 지난해 3월 사퇴한 바 있다.
김 전 사무총장 자녀는 강화군청에서 일하다 2020년 인천 선관위로 이직한 뒤 반년 만에 7급으로 승진하고, 미국 출장 기회 등 특혜를 받았다는 논란이 있었다.
선관위는 그동안 김 전 총장과 달리 박 총장, 송 차장 자녀는 채용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됐으며 이후에도 특혜를 받지 않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하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처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빗발쳤다.
선관위는 사무총장·차장 사퇴와 상관없이 현재 진행 중인 특별감사 및 자체 전수조사를 통해 전·현직 공무원의 자녀 채용 관련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징계 또는 수사 요청 등 합당한 모든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선관위는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에 따라 후속 사무총장·차장 후임자를 인선해 조속히 조직을 안정시키겠다는 각오도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