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경 모노레일, 3년간 452회 고장" 인명사고 나면 중대시민재해법 적용될 수도

툭하면 고장 땜질식 복구, 화재위험에 산사태 우려까지…
관광도시 문경 이미지 망쳐…인명사고 발생 전 근본대책 세워야

문경 단산관광모노레일
문경 단산관광모노레일

14명이나 숨진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에 대해 '중대시민재해법' 위반 첫 사례가 될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경북 문경에서도 자칫 이 법이 적용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위험한 관광시설물이 도사리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중대시민재해란 공중이용시설의 설계, 관리상의 결함으로 1명 이상이 숨지거나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한 경우를 뜻한다.

문경의 위험한 관광시설물은 백두대간 문경활공장이 있는 단산(해발 956m))에 설치된 문경시 직영 산악모노레일이다.

◆툭하면 고장, 땜질식 복구

24일 문경시에 따르면 문경의 대표 관광시설물 중 하나인 단산 모노레일이 지난 3년간 452회나 고장이 나는 등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모노레일이 설치된 곳에는 예전 탄광 갱도가 있었던 곳으로 집중호우 시 지반붕괴 등으로 탈선 위험까지 도사리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120여 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갔으며 시속 3㎞, 왕복 3.6㎞, 최대 42도 경사를 오르내리면서 8명을 태울 수 있는 차량 10대가 운영되고 있다.

최근 관광객이 몰리면서 인기를 끌고 있지만 모노레일은 출발부터 좋지 못했다.

2020년 4월 27일 개장한 이후 수차례 지반침하, 레일균열 등으로 운행이 중단됐고 5개월간 보강공사를 거쳐 그해 9월 18일 재개장했다.

그 이후에도 시설물 설계와 관리 과정에서 배터리 고장 등 크고 작은 고장으로 3년간 452회나 수리를 해야 했다.

운행 중 갑자기 멈춰 탑승객이 갇히는 사고도 10여 차례나 발생했지만 근본적 해결책 없이 땜질식 복구만 이뤄져 왔다.

문경시는 산악 모노레일에 부적합한 배터리식 동력 체계가 고장의 주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는 못한 상황이다.

더욱이 이 모노레일 설치업체는 경남지역에도 모노레일을 설치했는데, 경남에서 지난해 10월 모노레일 13대 전소한 사고가 발생,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충전식이 최대 경사가 42도인 단산 모노레일에 과부하가 걸려 화재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런 우려에 단산 모노레인은 여름철에도 에어컨 가동을 못해 '찜통' 자체로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경 단산 관광모노레일
문경 단산 관광모노레일

◆부적합 배터리식 불안감 확산

문경시 관계자 역시 "경사도가 심한 구간에 설치된 모노레일에 이용객이 많고 차량무게에 배터리 무게도 있다 보니 하중을 견디지 못해 잦은 고장이 생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는 전기배선식 모노레일 생산업체가 65곳 정도이고 배터리식은 4~5군데에 불과하다. 배터리식은 주로 평지 모노레일에 적합하다

15년 전 개장해 전기배선식으로 운행되고 있는 문경 가은오픈세트장 모노레일은 멈춤 사고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배터리 교체비용도 엄청나다. 3년 수명인 배터리가 경사가 심해 무리가 가다보니 실제로는 1~2년 만에 교체하는 바람에 교체비용도 3년간 1억8천만원이 사용됐다.

만약 전기배선식이었다면 6천만원 정도 소요 됐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문경 단산 관광모노레일
문경 단산 관광모노레일

◆갱도 위 설치 산사태 우려도

또한 모노레일을 받쳐주는 지주대 등이 콘크리트식이 아닌 산사태에 취약하게 설계 돼 있는 데다 단산이 과거 탄광 갱도가 있었던 곳이라 집중호우 시 지반붕괴 등으로 탈선 위험까지 제기되고 있다.

애초 설계 단계부터 이런 사정을 예상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민들은 "잦은 고장과 운행 중단, 산사태 위험까지 커진 만큼 운행을 중지하고 인명 사고 발생 전 근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인명 피해가 나 '중대시민재해법' 위반 첫 사례가 되면 관광 문경 이미지 훼손도 우려하고 있다.

문경시 관계자는 "개선점을 찾고 있다. 집중호우가 내리기 시작한 지난 15일부터는 운행을 중지했고 지반안정성 정밀조사 용역 등 대대적인 안전대책을 수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