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극단적 선택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을 돕는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가 주목받고 있다. 의료현장 최일선에서 근무하는 전문의와 사회복지사들은 매일 2명 이상의 고위험 환자를 돌보며 재시도를 예방하고 있다. 하지만 자주 방문하는 환자들에게도 정신과 진료를 강제하지 못하는 한계도 뚜렷했다.
8일 오전 10시 중구 삼덕동 경북대병원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를 찾자 2명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취재진을 5분 거리에 있는 경북대병원 응급실로 안내했다. 최효정 사회복지사는 "2명이 매일 시간을 나눠 2명 이상의 상담자와 면담하고 있다"며 "상담뿐만 아니라 정신적 취약계층을 발굴해서 회복을 돕고 있다" 말했다.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는 2011년 제정된 자살예방법에 따라 올해 기준 전국 응급의료기관 97곳에 설치돼 극단적 선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을 돕고 있다. 정신건강의 교수와 응급의학의 교수, 2~3명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근무하며 정신의학적 치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재시도를 예방한다. 대구에는 경북대병원과 영남대의료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등 3곳에 설치됐다.
최효정 사회복지사는 "경북대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가 생긴 2019년부터 사후관리 서비스를 4회 이상 받은 7천78명을 분석한 결과 위험도가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방문자가 급격히 늘었고 방문 이후 효과적으로 개선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문제는 2~3명의 사회복지사가 센터로 몰려드는 환자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이다. 경북대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을 찾는 환자는 지난 4년 동안 한 해 평균 1천689명으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부센터장인 안재윤 응급의학과 교수는 "응급 처치를 해서 돌려보내도 며칠 뒤에 다시 찾는 경우가 많다"며 "고위험군은 정신과 진료나 면담 등의 사후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시도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게 정신과 진료를 강제할 수 없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센터장인 우정민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응급의학의가 정신과 진료를 연계해도 환자가 거부하면 사후 관리가 이뤄지기 힘들다"며 "환자에게 정신과 진료를 고지할 의무가 법적으로 보장되는 식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