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바이오기술 혁신의 코어 AI' 대성그룹 '2023 대성해강미생물포럼' 개최

26일 오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대성그룹은
26일 오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대성그룹은 '2023 대성해강 미생물포럼'을 개최했다. 대성그룹 제공

대성그룹은 26일 '2023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을 개최했다. 올해로 여섯 번째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바이오기술 혁신의 코어 AI(The Impact of AI on Biotech)'를 주제로 바이오테크와 인공지능(AI) 분야 세계 석학들이 주제 발표와 패널토론에 참가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빅데이터와 AI의 결합으로 바이오화학, 바이오헬스, 지속가능 환경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적용 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전망을 다뤘다.

주요 연사로는 ▷시스템 생물학의 대가로 세계 최초 세포 기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한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버나드 폴슨(Bernhard Palsson) 교수 ▷컴퓨터를 활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신기술로 화학 분야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서울대 화학부 석차옥 교수 ▷KAIST에서 인공지능 연구원장을 맡고 있는 국내 AI 분야 최고 권위자 오혜연 교수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반도체인 메타브레인(MetaVRain)'을 개발, 우리나라 반도체 분야를 선도하는 KAIST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장 유회준 교수가 참가했다. KAIST 연구처장이자 생명과학부 석좌교수인 조병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또 임성순 KAIST 교수는 'DNA 기반 세포 메모리 시스템'을 주제로 발표했고, 이주영 한국화학연구소 박사는 '합성생물학 기반 맞춤형 미생물 세포공장을 활용한 바이오화학 기술'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은 "바이오테크 분야 연구, 개발 등 많은 단계에서 인공지능(AI)의 역할은 그 비중이나 중요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가져올 바이오테크 분야 기술 발전은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콘퍼런스가 바이오 및 AI 분야 글로벌 최고 석학들이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양 분야의 협력을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된 매우 유익한 행사였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