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대 광풍속…지방대 의약학계열 "추가 모집"

2023학년도 의약학, 치·한의학 21곳 정원 못 채워
수시 6번 지원…중복 합격할 경우 수도권행 택해

서울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서울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한국 사회를 휩쓴 '의대 열풍'에도 지방대 의약학계열은 21곳이나 추가 모집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지방대의 중복합격자가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생긴 결과다.

5일 종로학원이 2023학년도 전국 의약학계열 대학(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의 추가모집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시와 정시로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추가 모집을 한 곳은 24곳이었다.

이 가운데 21곳(87.5%)이 지방권 대학이었다.

추가 모집을 한 대학 중 의대(4개), 치대(2개), 한의대(4개), 수의대(3개)는 전부 지방 소재 대학이었다. 약대는 11개 대학 중 8곳이 지방대였다.

의대 4곳은 ▲가톨릭관동대 ▲단국대(천안) ▲경상국립대 ▲동국대(WISE)였다. 치대 2곳은 ▲조선대 ▲경북대, 한의대 4곳은 ▲상지대 ▲동국대(WISE) ▲대전대 ▲우석대였다.

수의대 3곳은 ▲전남대 ▲제주대 ▲경상국립대였다. 약대 11곳 중 지방대는 ▲충북대 ▲경성대 ▲제주대 ▲경상국립대 ▲부산대 ▲인제대 ▲우석대 ▲순천대 등 8곳이었다.

의대 광풍에도 불구하고 지방 의약학계열 대학의 추가 모집이 발생하는 것은 수도권 대학에 대한 선호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도권과 지방 의대에 중복 합격할 경우 대부분 수도권을 선택한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따라 지방대 의대를 중심으로 정원이 늘어나고 지역인재전형까지 확대되면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전국에는 총 39개 의대가 있고, 이 중 27개가 지방권역에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