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군사반란 44주년인 12일 서울 서초구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국립서울현충원 29번 묘역에 안장된 전사자 고(故) 김오랑 중령 묘를 찾아 헌화했다.
국민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날 고등학생 유모(17) 군과 신모(17) 군은 김 중령 묘를 찾았다. 이들은 "한국 근현대사에 관심이 있었는데 영화 '서울의 봄'을 계기로 현충원에 가봐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김 중령은) 의롭게 마지막까지 상관을 지키다 돌아가신 거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중령은 12·12 군사반란 당시 반란군에게 전세가 기운 상황에서 상관인 정병주 육군특수전사령관을 지키다 전사했다. 영화 서울의 봄에서는 배우 정해인이 김 중령의 역할을 맡았다.
이날 김 중령 묘역에서는 김오랑추모사업회의 추모식이 열렸다. 유 군과 신 군은 추모식 이후 첫 방문객이었다. 유 군은 "김 중령이 지난해 전사자로 인정됐다고 들었다. 앞으로 (명예)회복이 되고 과거사도 바로잡힐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반병사 8번 묘역에 있는 고(故) 정선엽 병장의 묘에는 김오랑추모사업회 관계자들과 정 병장의 누나들이 찾았다.
정 병장의 누나 정영음(74) 씨는 묘비를 어루만지며 눈물을 쏟았다. 그는 "(동생은) 정말 착한 아이였다. 유학 가려고 준비 중이었는데"라며 "동생이 죽고 나서 '빨갱이'라는 소리를 듣고 장례식도 늦게 치렀다. 가족들이 이 일로 많이 힘들었다"고 말했다.
정 씨는 또 "전사했는데도 43년 동안 애매하게 순직이라고 해왔다. 그나마 이제 전사로 인정돼 마음이 놓인다"고 말했다.
국립서울현충원에는 두 사람 외에도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한 인물들의 묘가 있다. 백운택 71방위사단장과 최예섭 보안사 기조실장, 이상연 보안사 감찰실장 등이다. 이들은 군사 쿠데타에 성공하고 이틀 뒤 국군보안사령부 건물 앞에서 찍은 사진에도 나온다. 전두환과 노태우 전 대통령의 육사 11기 동기였던 백 사단장의 묘에는 "나라와 겨레 지키는 일에 평생을 바치고 민주정 수호의 굳건한"이라고 적혀있다.
지난 4월 15일 서울에서 사망하고 화랑무공훈장을 받고 충혼당에 안치된 이 실장은 노태우 정부 당시 국가보훈처장과 내무부 장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말년에는 국정원 퇴직자 단체인 양지회 전 회장을 맡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홈플러스, 회생신청서에 "17일부터 현금부족"… 5월 말 부도 예상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불출석… "또 안 나오면 과태료"
[속보] 민주당, 오후 2시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발의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