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오랑 중령님, 서울의봄 보고 왔어요" 헌화한 아이들

12·12 군사반란 44주년인 12일 국립서울현충원 29번 묘역에 안장된 전사자 고(故) 김오랑 중령 묘를 찾아온 신모(왼쪽)군과 유모군. 국민일보
12·12 군사반란 44주년인 12일 국립서울현충원 29번 묘역에 안장된 전사자 고(故) 김오랑 중령 묘를 찾아온 신모(왼쪽)군과 유모군. 국민일보

12·12 군사반란 44주년인 12일 서울 서초구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국립서울현충원 29번 묘역에 안장된 전사자 고(故) 김오랑 중령 묘를 찾아 헌화했다.

국민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날 고등학생 유모(17) 군과 신모(17) 군은 김 중령 묘를 찾았다. 이들은 "한국 근현대사에 관심이 있었는데 영화 '서울의 봄'을 계기로 현충원에 가봐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김 중령은) 의롭게 마지막까지 상관을 지키다 돌아가신 거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중령은 12·12 군사반란 당시 반란군에게 전세가 기운 상황에서 상관인 정병주 육군특수전사령관을 지키다 전사했다. 영화 서울의 봄에서는 배우 정해인이 김 중령의 역할을 맡았다.

이날 김 중령 묘역에서는 김오랑추모사업회의 추모식이 열렸다. 유 군과 신 군은 추모식 이후 첫 방문객이었다. 유 군은 "김 중령이 지난해 전사자로 인정됐다고 들었다. 앞으로 (명예)회복이 되고 과거사도 바로잡힐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반병사 8번 묘역에 있는 고(故) 정선엽 병장의 묘에는 김오랑추모사업회 관계자들과 정 병장의 누나들이 찾았다.

정 병장의 누나 정영음(74) 씨는 묘비를 어루만지며 눈물을 쏟았다. 그는 "(동생은) 정말 착한 아이였다. 유학 가려고 준비 중이었는데"라며 "동생이 죽고 나서 '빨갱이'라는 소리를 듣고 장례식도 늦게 치렀다. 가족들이 이 일로 많이 힘들었다"고 말했다.

정 씨는 또 "전사했는데도 43년 동안 애매하게 순직이라고 해왔다. 그나마 이제 전사로 인정돼 마음이 놓인다"고 말했다.

국립서울현충원에는 두 사람 외에도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한 인물들의 묘가 있다. 백운택 71방위사단장과 최예섭 보안사 기조실장, 이상연 보안사 감찰실장 등이다. 이들은 군사 쿠데타에 성공하고 이틀 뒤 국군보안사령부 건물 앞에서 찍은 사진에도 나온다. 전두환과 노태우 전 대통령의 육사 11기 동기였던 백 사단장의 묘에는 "나라와 겨레 지키는 일에 평생을 바치고 민주정 수호의 굳건한"이라고 적혀있다.

지난 4월 15일 서울에서 사망하고 화랑무공훈장을 받고 충혼당에 안치된 이 실장은 노태우 정부 당시 국가보훈처장과 내무부 장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말년에는 국정원 퇴직자 단체인 양지회 전 회장을 맡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