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차기 회장 인선 돌입…현직 회장이 3연임에 도전하려면 보다 공정한 룰 필요

회장 재임시절 선임된 사외이사들(후추위)로 비롯된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
회장 자리 두고 정치권 개입설까지 잡음도 무성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대한민국 재계를 대표하는 5대 그룹으로 우뚝 선 포스코그룹의 차기 회장 자리를 놓고 잡음이 커지고 있다. 누가 되느냐를 놓고 온갖 설이 나오는가 하면 대통령실이 인사에 개입하려 한다는 소문과 함께 선임 절차를 두고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뒷말까지 나온다.

28일 포스코와 지역 경제계 등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사설 정보지 유포와 관련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김 실장이 포스코그룹 회장 인사에 개입하려 한다'는 내용의 '지라시'가 유포되고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한 경제계 인사는 "김 실장이 개인적 친분 있는 인사를 포스코 회장에 앉히려고 하고, 이 배경에 가족이 연관된 기업이 있다는 지라시가 떠돌았다. 구체적 회사명까지 나왔지만, 실제 확인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포스코 공채 출신으로 2018년 취임한 최정우 회장은 2021년 연임 해 내년 3월 임기가 끝난다. 차기 회장을 놓고 그룹 안팎에선 용산 실세 친분설, 전직 장관 투입설 등이 나온다.

여기에 최 회장이 최근 3억원어치 자사주를 매입해 사실상 3연임 도전 의사를 밝힌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이 빚어졌다. 현직 회장이 사퇴 또는 연임 의사를 밝히는 규칙을 차기 회장 인선(신지배 구조 개선안)부터 바꾸기로 한 게 불을 지핀 것.

여기에 사외이사 구성이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이들이 후보자 발굴부터 최종 후보자 확정 직전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CEO후보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 위원인데 모두가 최 회장 임기 내 선임 또는 재선임 됐기 때문이다.

또 다른 경제계 인사는 "사외이사들이 비공개로 심사하는 구조는 회장 본인은 물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차기 회장으로 만들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면서 "후추위 구성을 KT처럼 새롭게 해야 더욱 공정성 있는 선임절차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후추위는 21일 임시 의사회 결의에 따라 별도 공모 절차 없이 포스코 내부 회장 육성 프로그램을 거친 핵심 임원진과 외부 추천인사로 1차 후보군(롱 리스트)을 구성하기로 했다. 그리고 내부 심사를 통해 다음 달 말 5명 안팎 규모로 추려낸 '숏 리스트' 명단을 공개할 예정이다. 내년 2월에는 '파이널 리스트'로 좁혀 최종 후보 1명을 확정해 이사회에 추천하고 나서 3월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회장으로 선임한다.

재계 관계자는 "최 회장의 3연임 도전은 숏리스트가 공개되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 일"이라면서도 "회장 측근으로 구성된 사외이사가 비공개로 차기 회장 적격성을 심사한다는 것은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원칙) 발동을 불러올 수 있다. 후보 선임 절차는 보다 독립적인 곳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