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공천 매달리다 못 받아 뛰쳐나가는 것이 ‘제3지대 정신’인가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와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배제된 친문계의 핵심 인물 임종석 전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이 만났다. 임 전 실장이 만약 민주당을 탈당해 이낙연 공동 대표와 손을 잡는다면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친문계 인사들과 비명계 인사들의 동반 탈당 및 새로운미래와 연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렇게 된다면 이낙연-이준석 결별로 무산되는 것처럼 보였던 22대 총선 제3지대 빅텐트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재명 대표가 그리는 22대 총선 그림에 대해 '이 대표가 총선에서 지더라도 자신의 리더십에 도전할 수 있는 싹을 모두 잘라내야 승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민주당이 총선에서 이기더라도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장악하지 못하거나 대선 후보로 선출되지 못한다면 이 대표 본인에게는 '패배'가 된다는 인식 아래 반명 인사들을 쳐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의 '반명 쳐내기'가 '민주당 사당화(私黨化)'라고 비판받는 이유다.

하지만 바로 어제까지 이재명 대표의 '선처'를 호소하며 민주당 공천을 읍소했던 사람들, 이 대표의 민주당 사당화 행보에 입도 벙긋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자신의 공천 배제가 확실해지자 당을 뛰쳐나가 신당에 합류하는 행태가 과연 우리나라 정치 발전에 어떤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이 대표가 민주당을 '사당화'하면서 자기만 살겠다고 하는 행태나 그런 이 대표를 지지하며 매달리다가 공천에서 완전히 배제되자 다른 통로를 통해 출마하려는 행태가 무엇이 다르냐는 것이다. 당적 이적은 무조건 안 된다는 말이 아니라 그 동기에 비전이 안 보인다는 말이다.

국민들이 제3지대 정당을 희망하는 것은 합리적인 제3세력이 진영 정치와 양극단 정치에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고, 상식적인 정치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몸담고 있던 정당에서 극단 정치를 묵인하거나 동조하다가 공천을 받지 못해 나온 사람들에게 상식이 통하는 정치, 시대정신을 찾는 정치를 기대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