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내년 11월 국내에서 열린다. APEC 정상회의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를 비롯해 아태지역 21개국 정상과 각료 등 6천여 명이 모이는 연례 회의다. 이 회의 유치는 개최지의 전 세계적 홍보는 물론 막대한 경제효과를 동반한다. 올 상반기 국내 개최지 선정을 앞둔 가운데 경북 경주를 비롯해 제주, 부산, 인천이 APEC 정상회의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지난 2005년 부산에서 회의가 개최됐다는 점, 인천이 수도권인 데다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경주와 제주 간 2파전이 될 공산이 크다.
정상회의 최적 개최지 요소로는 지역의 특화된 경쟁력, 경호와 안전, 인프라, 개최 역량 등을 꼽을 수 있다.
불국사, 석굴암, 남산 등 숱한 문화재를 보유해 도시 자체가 세계문화유산이라고 할 만한 경주는 한국적 전통과 문화가 최대의 경쟁력이라고 하겠다. 4개 유치 지역 중 유일한 기초자치단체란 점도 APEC '비전 2040'의 포용적 성장과 정부의 지방시대 균형발전이란 가치와 맥을 같이한다.
회의 주무대가 될 경주보문관광단지는 도심에서 불과 5㎞가량 떨어져 있는 데다, 회의장과 숙박시설 간 동선이 짧아 경호와 안전에도 제격이다. 2005년 정상회의가 부산에서 열렸을 때 한미 정상회담은 부산 대신 경주 보문단지에서 열렸다는 것도 경호에 안성맞춤이란 점을 방증하는 셈이다.
2014년 국제회의도시로 지정된 경주는 보문단지 일대 178만㎡가 비즈니스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주 회의장(화백컨벤션센터) 증축도 올해 마무리돼 충분한 인프라를 갖췄다 그만큼 경주는 국제회의 개최 적지(適地)로 손색이 없다.
2012년 APEC 교육장관회의, 2015년 세계물포럼, 2017년 세계유산도시기구 세계총회 등 굵직한 국제행사를 개최한 경험도 개최지 역량으로 내세울 수 있는 대목이다.
국내에서 20년 만에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의 개최지로 가장 한국적인 도시, 경주가 선정돼 경주를 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