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주자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양자 대결을 한다고 가정할 때 두 사람의 지지율 차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3일 연합뉴스와 연합뉴스TV가 여론조사 업체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달 30∼3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례 여론조사에 따르면 양자 대결을 가정해 후보 적합도에서 이 대표는 37%, 한 위원장은 31%로 집계됐다. '적합 후보 없음'을 택한 사람은 27%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70세 이상(한동훈 54%·이재명 20%)에서는 한 위원장이 앞섰고 30대(한동훈 20%·이재명 39%), 40대(한동훈 22%·이재명 50%), 50대(한동훈 28%·이재명 49%)에서 이 대표가 앞섰다.
18∼29세(한동훈 21%·이재명 22%)와 60대(한동훈 44%·이재명 38%)에서는 두 후보가 접전을 보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32%가 한 위원장을, 39%가 이 대표를 지지했고 여성은 31%가 한 위원장을, 35%가 이 대표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권역별로는 대구·경북(한동훈 42%·이재명 21%)과 강원·제주(한동훈 41%·이재명 27%)에서 한 위원장이 우세했고 인천·경기(한동훈 28%·이재명 44%), 광주·전라(한동훈 10%·이재명 61%)에서 이 대표가 우위였다.
서울(한동훈 33%·이재명 29%), 대전·세종·충청(한동훈 36%·이재명 35%), 부산·울산·경남(한동훈 37%·이재명 32%)에서는 두 사람이 오차범위 내에서 각축을 벌였다.
2월에 진행한 같은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한 위원장 적합도는 40대(18%→22%)와 강원·제주(23%→41%) 등에서 늘었다.
이 대표 적합도는 남성(28%→39%), 50대(37%→49%), 60대(24%→38%), 광주·전라(49%→61%), 진보성향층(56%→68%) 등에서 올랐다.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가상번호를 추출 도구로 한 100% 무선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2.4%였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