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십억 들인 코로나19 '반짝 사업', 엔데믹 오면서 무용지물

온라인 예술 앱 이용자 '뚝'…12억 들인 스마트 관광 거리는 '폐기'
랜선 통해 지역 예술 콘텐츠 소개했지만…활용도 저조, 관리 부서 사라져
'메타버스 대구월드' 운영 중인 서비스 3가지뿐

'메타버스 대구월드' 누리집 캡처
'메타버스 대구월드' 누리집 캡처

대구시에서 코로나19 유행 당시 기획한 사업들이 뚜렷한 사업 실적을 보여주지 못하고 폐기 수순을 밟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후죽순 만들어진 사업들이 지속적인 관리를 받지 못하고 무용지물 상태에 빠지거나 자취를 감춰버린 것이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21년부터 2년간 시비 28억원을 들여 '랜선문화예술프로젝트' 사업을 진행했다. 당시 코로나19 유행으로 관객을 만나기 어려워진 지역 예술가들이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만들어진 영상은 2021년 대구 문화예술 전용 유튜브 채널 'Arts Lan:D(아츠랜드)'와 2023년 '메타라이브' 어플리케이션(앱)에 각각 게시됐다.

하지만 두 채널 모두 현재는 사실상 수명을 다한 상태다. 아츠랜드의 경우 관리 주체였던 대구문화재단이 대구문화예술진흥원으로 흡수되면서 관리 부서가 사라졌고, 메타라이브 앱 역시 관련 영상이 게시됐던 지난해 9월 이후 이용자 수가 꾸준히 줄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만1천476회였던 앱 다운로드 수는 올해 3월 기준 251회로 감소했고, 같은 기간 앱 방문자 수 역시 3천73회에서 1천195회로 줄었다.

코로나19로 침체됐던 관광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대구시가 국비를 받아 진행한 사업도 좌초한 건 마찬가지다. 지난 2021년 '코리아토탈관광패키지(KTTP)'에 선정된 대구시는 동성로를 스마트 관광거리로 조성하기 위해 국비와 구비 등 12억원을 투입했는데 관리 미흡 문제로 지난해 사업이 돌연 폐기됐다.

여기에는 기존에 중구청이 운영하던 서비스 플랫폼을 발전시켜 옷을 시험 착용해 볼 수 있는 '피팅 키오스크', 'AR 도보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넣어 운영 중이었는데, 기존 플랫폼과 새로운 플랫폼 사이 기술 전환이 매끄럽지 않은 등 정상적인 운영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엔데믹' 후 비대면 수요가 줄어들면서 올해 초 공개된 '메타버스 대구월드' 역시 활발한 이용을 기대하긴 어려운 실정이다. 당초 메타버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지난해 7억원, 올해 5억원을 투입해 행정 수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게 목표였지만, 현재 운영 중인 기능은 병의 유무를 자가진단 할 수 있는 의료기술서비스 등 3가지에 불과해 '속 빈 강정'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랜선문화예술프로젝트'의 경우 사업 당시 소기의 성과를 거뒀고, '메타라이브 앱'은 관광과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며 "다만 유튜브 '아츠랜드'채널의 경우 현재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전용 유튜브 채널이 따로 있어 관리가 어렵다"고 했다.

이어 "'메타버스 대구월드'는 아직 정식으로 런칭한 상태는 아니다. 정식 런칭을 하게 되면 홍보를 통해 이용률을 높일 계획"이라며 "앞으로는 시비 지원 없이 기존 수익 모델이 있는 기업들이 다양한 창구 중 하나로 메타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종민 계명대 행정학과 교수는 "코로나19 관련 사업을 처음 기획할 때부터 구멍이 많았다. 급조된 사업들도 한 번만 더 고민했다면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앞으로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정책을 추진하는 기관에서 협의체를 구성해 전문가 등과 논의하는 과정을 거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