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국가 총력전'을 선포하고 "대한민국을 오는 2027년까지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킬 것"이라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인공지능 대전환,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진행된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출범식이 열린 포시즌스 호텔은 지난 2016년 3월 이세돌 9단과 AI 알파고가 세기의 바둑 대국을 펼친 곳이다.
먼저 윤 대통령은 "지금 우리는 AI가 인간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는 문명사적 대전환을 경험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변화를 앞에서 선도하느냐 뒤에서 따라가느냐에 따라서 나라의 미래와 운명이 갈리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AI 분야 전문가 민간위원 30명, 장관급 정부위원 10명 등으로 구성된 국가AI위원회 위원장을 직접 맡아 AI 관련 역량확장에 공을 들일 예정이다.
이어 윤 대통령은 "지금 전 세계 AI 전문가들이 꼽는 AI 강국이 미국, 중국, 싱가포르, 프랑스, 영국, 한국 정도"라며 "우리가 더 노력하면 3대 강국으로 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고 도전할 만한 과제"라고 국민들의 참여와 성원을 당부했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노력해 세계최강의 정보통신(IT, Information Technology) 강국이 된 전례를 참고하면 AI 세계 3대 강국 도전도 꿈만은 아니라는 의미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국가AI컴퓨팅센터'를 민·관 합작투자를 통해 구축하고 산업과 사회 전반에 AI 전환을 촉진해 민간의 인공지능 분야 투자 확대를 견인하겠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연구개발과 인프라, 법·제도 등 모든 분야에서 치밀한 전략을 수립하고 철저히 이행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다만 윤 대통령은 가짜뉴스 확산과 딥페이크(deep fake) 기술악용 등 AI 기술의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동력도 병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AI 기술로 생산된 가짜뉴스들이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최근에는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해서 인권을 침해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면서 "정부는 이런 문제들을 국제사회와 연대해 풀어나가기 위해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최고책임자의 강력한 의지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오는 11월 AI 안전연구소를 설립하고 AI기본법도 올해 내로 제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AI 컴퓨팅 인프라 제공을 위해 2조원 규모의 '국가AI컴퓨팅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를 현재 우리가 보유한 규모의 15배인 2엑사플롭스(EF·1초에 100경 번의 부동소수점 연산 처리 능력)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AI 기본법을 제정해 AI 발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AI를 악용한 가짜뉴스나 딥페이크 같은 부작용도 방지할 예정이다.
박 수석은 "민간 부문에서는 올해부터 시작해서 4년간 2027년까지 AI 분야에 총 65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것으로 의사가 취합됐다"며 "정부는 민간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조세 특례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가 AI컴퓨팅 인프라 대폭 확충 ▷민간부분 AI투자 대폭 확대 ▷국가 AI 전환(AX) 전면화 ▷AI 안전·안보 글로벌 리더십 확보 등의 내용을 담은 '4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민관이 힘을 모아 추진하기로 했다.
박 수석은 "정부는 국가AI위원회를 통한 민·관 원 팀의 'AI 대전환 국가 총력전'을 적극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