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증가 영향으로 가계부채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신용대출이 줄어들면서 가계 빚 증가 폭은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가계신용 잔액은 1천928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2조8천억원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2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카드 사용액 등 결제 전 금액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가계부채 규모를 의미한다. 한국의 가계신용은 지난해 2분기부터 네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용대출이 5조원 가까이 감소하면서 전체 가계신용 증가 폭은 둔화되는 흐름을 보였다. 1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2조8천억원으로, 직전 분기(11조6천억원)의 약 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세부적으로 보면, 가계대출은 1천810조3천억원으로 전 분기 말보다 4조7천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1천133조5천억원으로 집계되며 9조7천억원 증가했고, 반면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4조9천억원 줄었다. 기타대출의 감소는 14분기째 이어지고 있으며, 연초 상여금 등으로 신용대출을 상환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 취급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이 974조5천억원으로 석 달 새 8조4천억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11조5천억원 늘었고, 기타대출은 3조1천억원 감소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상호금융·저축은행·신협 등)의 가계대출도 311조3천억원으로 1조원 증가했으나, 증가폭은 전 분기(6조3천억원)의 6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보험사, 증권사, 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524조5천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조7천억원 감소했다. 주택도시기금의 자체 재원 대출과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 유동화분 등이 상환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신용카드사 등의 카드 사용 잔액인 판매신용은 118조5천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조9천억원 줄었다. 한은은 매년 1분기에 판매신용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말 소비가 집중되는 4분기 이후 기저효과로 신용카드 미결제액이 줄어드는 현상이 반복된다는 분석이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1분기 가계신용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신용대출은 줄었다"며 "연초 상여금과 소비 축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전한길 "은퇴 아닌 사실상 해고…'좌파 카르텔'로 슈퍼챗도 막혀"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