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더워지고 신록이 하루가 다르게 무성해진다. 산이나 숲에는 연분홍빛의 화려한 봄꽃 대신 하얀 꽃을 피우는 나무가 초록잎 사이로 눈에 띈다. 도심 공원이나, 야산을 뭉게뭉게 피어서 장식하는 대표적인 나무로 층층나무, 말채나무, 산딸나무를 꼽을 수 있다. 층층나뭇과의 이 나무들은 해마다 가지가 줄기에서 돌려나서 층층이 배열을 이루는데다 무리 지어 핀 흰 꽃들은 초여름 숲과 공원을 환하게 만든다. 특히 산딸나무의 새하얀 꽃이 가지를 따라 하늘로 핀 모습을 멀리서 보면 순백의 아름다움에 눈이 부실 정도다.
◆산딸나무 아름다운 허세
산딸나무는 가을에 익은 열매의 모양이 산딸기와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삼림수목감요(朝鮮森林樹木鑑要)』(1923)에는 나무 아름이 제주도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나온다. 9, 10월에 붉게 익는 열매는 산딸기보다 조금 크고 공처럼 둥글게 생겼으며 과육은 부드럽고 맛은 약간 들쩍지근하며 향은 무덤덤하다.
표면을 자세히 보면 거북이 등 같은 오각형 무늬가 있는데 여러 개의 암술이 서로 붙어 만들어졌다. 산딸나무는 층층나뭇과로 산딸기나무(장미과 나무)나 딸기(장미과 풀)와는 사돈의 팔촌도 아닌 아무런 관계없는 사이다.
5, 6월에 피는 하얀 꽃을 자세히 보면 한쪽이 길쭉한 타원을 이루는 꽃잎 4장이 마주 보고 네 갈래로 펼쳐 십자(十字) 모양을 이루고 있다. 수백 송이 하얀 꽃이 짙푸른 잎사귀 사이로 장식하듯 솟아있어 눈에 쉽게 들어온다.
당연히 꽃잎처럼 보이는 흰 것은 사실 꽃잎이 아니라 잎이 변해 생긴 꽃받침[포·苞] 조각이다. 하얀 꽃받침 안쪽에 연록색의 작은 돌기처럼 엉성하게 여럿이 달린 게 진짜 꽃이다. 꽃받침이 꽃잎으로 보이고, 정작 꽃은 여느 꽃의 가운데 있는 수술처럼 보인다. 진짜 꽃송이는 너무 작아 볼품없고 향기마저 없어 곤충들을 불러들이기에는 역부족이다.
벌과 나비에 의존해 수분하는 충매화인 까닭에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서는 곤충을 유혹하는 비장의 무기가 필요했다. 결국 멀리서도 이들의 눈길을 끌기 위해 크고 예쁜 꽃받침을 꽃으로 위장하는 허세를 부린다. 꽃받침은 한 달 가까이 꽃처럼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곤충들을 계속 불러들이는 전략으로 확실하게 수분을 마친다. 이런 치밀한 작전 덕분에 백옥 같은 산딸나무꽃을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다.

◆가까이 쳐다보면 보이지 않고
아파트단지에도 조경용으로 심은 산딸나무가 초여름의 싱그러움과 '순백의 꽃'을 자랑한다.
멀리서 보면 그렇게 예쁘게 보이던 하얀 꽃들이 막상 가까이 가서 올려다 보면 사람 키의 4~5배 되는 나무엔 푸른 잎만 무성하고 꽃은 어디에 숨었는지 잘 보이지 않는다. 산딸나무 꽃은 나뭇잎 위로 하늘을 향해 층층이 뻗은 가지 따라 조롱조롱 피기 때문에 나무 가까이서 쳐다보면 잎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고층 건물이나 높은 데서 내려다보면 하얀 나비 수백 마리가 살포시 내려앉은 듯한 꽃 무리를 감상할 수 있다.
임태진 시인의 시조 「산딸나무 때죽나무」에 이런 특성이 잘 녹아 있다.
한낮에도 이 세상에 어두운 일 있나 보다
하늘바라기 산딸나무 땅바라기 때죽나무
가난한 어느 마을에 불 올리는 흰 나비 떼
<시조집 『딱따구리 어머니』, 고요아침, 2019>
산딸나무를 '하늘바라기'라고 말하고, 때죽나무를 시인은 '땅바라기'라고 적확(的確)하게 표현했다. 때죽나무나 쪽동백나무의 꽃은 나뭇잎 아래에 땅을 향해 대롱대롱 매달려 있어서 고개를 들어 올려다보면 올망졸망 하얀 자태를 감상할 수 있다.
보통 산딸나무는 숲속의 그늘에서는 햇빛을 받으려고 발버둥 치듯이 가지를 제멋대로 뻗는다. 햇빛이 풍부한 양지에 관상수로 심으면 층층나뭇과 특유의 수형을 뽐내며 멋지게 성장한다. 나무 줄기 중심에서 가지가 방사형으로 돌려나서 하늘로 꼿꼿하게 자라다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굵은 가지는 지면과 나란하게 드리워진다. 나무가 햇빛을 제대로 받아 가지가 옆으로 충분히 펴지면 전체 수형의 실루엣은 펑퍼짐한 이등변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산딸나무 전설
산딸나무에는 동서고금의 다양한 전설과 신화가 깃들여 있다.
기원전 2600년경 고대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문명에 등장한 우루크 왕조의 전설적인 왕 길가메시(Gilgamesh)는 지옥으로 떠나는 그의 친구이자 종인 엔키두(Enkidu)에게 "산딸나무 막대기를 손에 들지 마라. 정령들이 네게서 모욕당하고 있다고 느낄 것이다"라고 충고했다. 그러나 엔키두는 왕의 말을 듣지 않고 정령들이 싫어하는 산딸나무 막대기를 들었다가 저승에 갇히고 만다. 정령들은 왜 산딸나무를 싫어했을까?
중국의 기서(奇書) 『산해경』의 「남산경」에는 소요산의 미곡(迷穀)이라는 나무가 나오는데 설명은 다음과 같다.
"그 산에 나무가 있으니 그 형상은 마치 곡(穀)과 같고 검은 무늬가 있고, 그 나무에서 피는 꽃은 사방을 비춘다. 그 이름은 미곡(迷穀)이라 하며 이를 차고 다니면 길을 잃지 않는다.(有木焉,其狀如穀而黑理,其華四照,其名曰迷穀,佩之不迷.)"
미곡이라는 나무를 닥나무[楮·構樹]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옛 사람들은 산딸나무를 나타내는 중국어 사조화(四照花)로 보았다. 산딸나무의 돌려난 가지에 꽃 핀 모습을 보고 '사방을 비추는 나무'로 여긴 것이다.
구름 보며 북궐에 의지를 하고
瞻雲依北闕·첨운의북궐
해 따라서 정동쪽서 왔네
就日正東來·취일정동래
사조는 섬돌을 연해 비추고
四照連階映·사조련계영
천 개 구슬(눈) 온 땅에 두루 쌓이네
千瓊遍地堆·천경편지퇴
불어 대는 솜은 약한 버들개지고
吹綿疑弱柳·취면의약류
곱게 차린 꽃은 막 핀 매화네
粧蘂趁新梅·장예진신매
가관이 동풍에 열리니
葭管東風啓·가관동풍계
율관 불자 갈대 재가 날리는구나
吹律動飛灰·취율동비회
<『잠곡유고』 권14 「조경일록(朝京日錄)」>

조선 중기 경세(經世) 관료 김육(金堉)이 명나라를 다녀온 뒤에 작성한 견문록의 정축년(인조 15년 1637) 2월 2일 자에 나오는 명나라 제독의 시다. 사조(四照)는 『산해경』의 사조화를 말하는데 이 시에서는 눈[雪]을 은유했다.
서양에서는 예수가 로마 군인들에게 처형될 때 십자가로 쓰인 나무가 산딸나무였다고 알려져 기독교인들이 특히 사랑하는 수종이 됐다. 한술 더 떠서 누군가가 넉 장의 꽃잎은 십자가, 빨간 열매는 예수의 피를 상징한다고 의미까지 부여했다. 신앙심이 깊은 기독교인들은 성스러운 나무로 여길 수밖에 없었고 시인들은 산딸나무의 전설을 찬양했다.
이런 사연 때문일까,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김영삼 전 대통령은 청와대에 기념식수로 산딸나무를 심었다.
사실 이 전설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 중동(中東)에서 자라는 산딸나무 '독우드(Dogwood)'는 서아시아 원산의 붉은말채나무(학명:Cornus sanguinea)를 가리킨다고 한다. 키가 작은 관목이기 때문에 십자가 제작에 쓰였을 가능성이 없다. 성서에 십자가의 재질에 관한 이야기가 없고, 로마 시대에도 십자가로 사용한 나무 이름에 관한 기록이 없다고 하니 십자가를 만든 나무 재질은 하느님만 아신다고 해야 하나.

◆색상 화려한 미국산딸나무
최근 공원에 미국산딸나무를 비롯한 서양산딸나무와 꽃받침이 유난히 붉은 꽃서양산딸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벚꽃이 지는 4월쯤 나무 새잎이 돋기 전에 핑크빛의 꽃이 먼저 풍성하게 핀다. 미국산딸나무는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 바깥의 가장자리가 폭 패인 듯이 들어간 게 특징이다. 열매는 딸기를 닮은 토종 산딸나무와 달리 작은 방망이처럼 약간 길쭉하게 생겼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미국산딸나무를 이명으로 처리하고 꽃산딸나무를 정명으로 한다.
우리 땅에서 자라는 꽃산딸나무는 대부분 원예종으로 개발된 재배 품종으로 외국서 들여온 것이다. 한중일의 원산인 동양 산딸나무와 히말라야가 원산지인 '상록산딸나무'를 중간 교잡시켜 탄생한 꽃산딸나무 품종도 있는데 이름은 '노르만 해든'이다.


또 미국에서 동양 원산의 산딸나무와 미국 원산의 꽃산딸나무를 교잡시켜 흰가루병과 탄저병에 거의 완벽한 내성을 가진 품종으로 거듭난 게 럿거센시스산딸나무 '스텔라 핑크' 등 이른바 '스텔라시리즈' 6종이다.
꽃산딸나무는 가을의 단풍도 멋스럽다. 선홍색으로 물든 색감은 늦가을 산속의 복자기나무의 선홍빛 잎사귀에 비교될 만큼 산뜻하다.
국립대구박물관의 화계(花階) 담 너머에 꽃산딸나무 서너 그루가 있다. 봄 화려한 경관을 좋아하는 관람객들의 기호에 맞추려고 심었는지 몰라도 문화유산을 보여주는 '박물관 조경'으로는 뜬금없다. 식물도 문화유산의 일부로 본다면 토종나무가 더 잘 어울릴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대구의 나무로 읽는 역사와 생태 인문학』 저자·전 언론인 chunghaman@korea.com
댓글 많은 뉴스
국힘 "75% 사수" 민주 "30% 돌파"…TK서 대선 승패 갈린다
대구과학관 내부 성범죄 묵인…'재워주겠다' 발언에 신체 접촉까지
민주당 압박에 '흔들리는 법원, 무너지는 검찰'…내부선 "스스로 지켜야" 목소리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앞으로 지지율이 변수
김미애 "이재명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부산시민께 사과해"…민주 "공약대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