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짧은 임기를 마치고 30일 물러났다. 김 위원장은 6·3 대선을 20여 일 앞두고 비대위원장을 맡은 이래 당을 전면 쇄신(碎身)하자며 5대 개혁안(지방선거 100% 상향식 공천, 당론 투표 시 당심과 민심 반영 절차 구축 등)을 제시했으나 관철하지 못했다.
현재 국민의힘은 다시 비대위를 구성해 당 혁신안을 마련하는 한편 전당대회를 준비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금 국민의힘의 모습에서 절박함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절박함을 느끼는 몇몇 의원을 제외하면 차기 당권을 향한 모색만 있을 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 6·3 대선 패배에 대한 제대로 된 '반성문' 하나 쓰지 못하고 있다. 반성, 쇄신, 변화에 대한 진정성이나 절박함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환골탈태(換骨奪胎)하지 못하면 국민의힘은 '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국민의힘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염두에 둔 당권 다툼, 보여 주기 식 변화를 철저히 배제하고, 구성원 모두가 사(私)를 버리고 공(公)을 위한 파괴적인 개혁에 임하지 않으면 소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권력자에게 기대는 측근 정치, 공천권으로 줄을 세우고 세력을 키우는 줄 세우기 정치, 진영 간 갈등과 대립을 이용하는 선동 정치, 선거 때마다 외부 스타를 끌어들여 '포장지'로 이용하면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용병 정치', 극단적 세력들에 기대는 '우상 정치'와 결별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 국민의힘은 '지지기반'이 와해(瓦解)된 상태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이를 재건하고 외연(外延)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당 지도부가 공천권을 쥐고 흔드는 '하향식 공천제'를 전면 손질해야 한다. 당장 내년 지방선거부터 국회의원이 지역구 기초의원, 광역의원, 지자체장 공천에 개입하는 악습을 끊고 '당원 및 지역 주민 100% 상향식 공천제'로 바꿔야 한다. 그래야만 국민의힘에 등을 돌린 청년 정치인들과 외부 인재들이 들어온다.
지역구 의원이기는 하지만 당 공천만 받으면 (공천 유지에만 힘쓰면) 되는 사실상 '비례 의원'이나 다름없는 지역구 의원들이 당 공천에만 신경 쓰고, 다선 의원들끼리 나눠 먹는 한 외부 인재들이 국민의힘에 도전장을 내밀 일도, 국민의힘에 기대를 걸 이유도, 국민들이 관심을 가질 이유도 없다. '상향식 공천제'를 통해 외부 인재들이 국민의힘에 관심을 갖도록 하고, 신인 정치인들이 당 지도부가 아니라 국민들과 소통하는 정치를 펼치도록 장(場)을 펼쳐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국민의힘이 국민과 하나 될 수 있다.
국민의힘은 단순히 선거 패배 문제가 아니라 국민과의 '괴리'라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국민의힘이 '국민주권을 실천하는 정당'으로 거듭날 때, 국민들은 국민의힘을 다시 보게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주진우 "국민은 15만 원 소비 쿠폰, 국회의원은 출판기념회로 현금 1~2억씩 걷어"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