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동그룹, AI기술 접목 농업환경 변화 이끈다

자율주행 등 노동집약 농업 탈피

최준기 대동에이아이랩 대표가 17일 서울 서초구 대동 사옥에서 AI 기술 개발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준기 대동에이아이랩 대표가 17일 서울 서초구 대동 사옥에서 AI 기술 개발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동그룹이 농업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 농업'을 확산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대동그룹 계열사인 대동에이아이랩은 17일 서울 서초 대동 사옥에서 미디어간담회를 열고 농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동·작업·재배'의 3대 AI 개발 현황과 차세대 기술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동 AI는 논밭, 과수원과 같이 정형화되지 않은 야외 환경에서 농기계나 로봇이 스스로 주행 경로를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을 뜻한다. 국내 농경지 환경에서는 위치확인시스템(GPS)을 기반으로 한 자율 주행은 한계가 있어 비전 기반 AI로 경계 인식과 장애물 회피 성능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대동에이아이랩은 지난해부터 과수원과 밭 사진 약 50만 장과 주행 영상 300만 건을 수집해 국내 최대 규모의 농업 데이터를 확보해 이를 활용한 4단계 자율주행 트랙터를 내년 상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작업 AI는 경운·파종·수확 등 사람의 반복 작업을 AI 로봇이 대체하는 기술이다.

대동에이아이랩은 간담회에서 원격조작 로봇팔로 딸기를 수확하고 잎을 제거하는 작업을 시연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기계화율이 100%에 가까운 논농사와 달리 기계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밭농사(67%)와 과수원(31%) 분야 작업 혁신이 목표다.

재배 AI는 작물의 생육 상태를 분석·예측해 맞춤형 재배 전략을 제안하는 기술이다. 위성과 드론, 스마트 농기계 등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누구나 안정적인 작물 재배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준기 대동에이아이랩 대표는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사 작업을 더욱 손쉽고 스마트하게 만들 것"이라며 "AI 농기계와 로봇이 스스로 판단해 농작업을 수행하고, 재배 AI가 생육을 예측해 최적의 전략을 제안하는 미래 농업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농기계 1위 기업인 대동은 스마트 농기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파밍, 스마트 로봇, 스마트 GME 등 5대 미래사업을 점찍고 사업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동에이아이랩은 지난해 5월에 설립된 자회사로, 자율주행 로봇 시스템 개발 및 AI 기술 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