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격 공격적 인상에 MZ 이탈"…명품업계 매출도 '뚝뚝'

프랑스 LVMH 상반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
이탈리아 몽클레르도 2분기 매출 전년 대비 1% 감소
"공격적 가격 인상에 매력↓, 가성비 찾아 소비 이동"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그룹 회장. 연합뉴스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그룹 회장. 연합뉴스

올해 루이뷔통 등 주요 명품 브랜드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격적으로 가격을 인상한 브랜드를 중심으로 젊은 고객층 이탈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27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루이뷔통, 디오르 등 다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지난주 실적 발표에서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순익은 22% 감소했다.

이에 프랑스 증시에서 LVMH 주가는 올해 들어 지난 25일까지 23% 하락했다.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은 실적발표 후 WSJ과 인터뷰에서 "최근 실적 부진은 일시적 현상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몽클레르도 지난 24일 실적 보고서에서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명품업계의 공격적인 가격 인상 등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되면서 Z세대(199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를 중심으로 명품 브랜드에 대한 매력도가 떨어진 점 등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지목된다.

지난 4년간 가격 인상에 공격적이지 않던 보석 브랜드들은 양호한 실적을 거뒀기 때문이다. 일례로 브랜드 카르티에 등을 보유한 리치몬트의 경우 주얼리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월가에선 소비자 취향의 구조적 변화일 가능성을 두고 우려가 번지는 분위기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인 UBS는 "투자자들이 지난 2년간 유럽 명품업체들의 실적 회복을 기다려 왔다"며 "투자자들이 명품 업계의 장기적으로 구조적인 매력도 변화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WSJ도 "명품 업체들이 팬데믹 기간 핸드백 가격을 공격적으로 인상한 가운데 소비자들은 더 나은 가성비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는 영역으로 고개를 돌렸다"고 평가했다. 반면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대형 럭셔리 브랜드가 소규모 신생 브랜드에 자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는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