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이 역대 7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반도체와 승용차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가 이어진 가운데 해상 운송비는 대부분 국가에서 하락해 수출 경쟁력 개선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관세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월간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5.8% 증가한 608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0.7% 증가한 542억달러였으며, 무역수지는 66억달러 흑자를 보이며 6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1년 전보다 30.6% 증가한 149억1천만달러로 5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승용차 수출도 6.3% 증가한 54억9천만달러로 전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선박 수출은 114.0% 급증한 21억1천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석유제품은 6.2% 감소한 42억4천만달러, 자동차 부품은 8.6% 감소한 18억3천만달러, 무선통신기기는 8.7% 감소한 13억6천만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수출이 4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해 1.5% 늘어난 103억3천만달러였다. 유럽연합(EU)은 8.7% 증가한 60억3천만달러, 베트남은 11.0% 증가한 55억2천만달러, 대만은 68.0% 급증한 46억5천80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중국은 3개월 연속 감소해 3.0% 줄어든 110억4천만달러였다. 일본도 4.7% 감소한 24억8천만달러, 중동은 36.4% 대폭 감소한 14억7천만달러였다.
수출 증가세와 함께 해상 운송비 하락도 수출 여건 개선에 기여했다.
관세청이 같은 날 발표한 '2025년 7월 해상 수출입 컨테이너 및 항공수입 운송비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해상수출 운송비용은 주요 국가에서 대부분 하락했다.
40피트 표준 컨테이너(2TEU) 기준으로 미국 서부는 1개월 전보다 8.5% 하락한 553만9천원, 미국 동부는 4.5% 하락한 640만2천원을 기록했다. 중국은 6.2% 하락한 63만4천원, 베트남은 5.7% 하락한 157만7천원이었다.
반면 EU는 6.3% 상승한 400만2천원, 일본은 11.9% 상승한 69만7천원으로 나타났다.
해상수입 운송비용의 경우 미국 서부는 11.0% 상승한 273만7천원이었지만, 미국 동부는 17.2% 하락한 162만9천원을 보였다. 중국은 1.2% 하락한 118만원, 일본은 7.3% 하락한 103만3천원이었다.
항공수입 운송비용은 미국이 17.5% 하락한 ㎏당 4천188원으로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일본도 8.1% 하락한 1천652원으로 4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면 유럽연합은 5.6% 상승한 6천36원으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법원에 체포적부심 청구…'내일 오후 3시' 진행
주진우 "9월 28일 李 '냉부해' 촬영 증거 추가 공개, 허위 브리핑 강유정 형사고발"
'추석민심' 李 긍정평가 59%, 부정평가 33%…'취임 100일'과 비교해보니
조국 "국힘 반드시 반토막 이하로 줄여야…걸림돌을 없애는 일"
이진숙, 체포 50시간 만에 석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