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온누리상품권 가맹업종 기준을 완화했지만 정작 병·의원이 많은 수혜를 받으면서 제도 취지가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업종 기준이 완화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업종완화 신규 가맹점은 총 3천654개였고 결제금액은 457억원이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병원·치과·한방 1천777개 348억원 ▷학원 1천428개 101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병·의원 결제액 비중이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이밖에 노래연습장 326개, 동물병원 73개 등이 있었다.
연 10억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 매출을 올린 병원도 1년 새 5곳이나 나왔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병원은 세종에 있는 A 정형외과로 연간 13억1천300만원에 달했다. 이어 경기도 군포 B 치과(10억2천400만원), 대전 서구 C 의원(9억9천500만원), 서울 종로구 D 의원(9억3천600만원), 구로구 E치과(9억3천500만원) 등 순이었다.
온누리상품권은 전국의 전통시장,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등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가맹업종 기준을 완화하면서 이곳에 있는 일부 병원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중기부는 A 정형외과에 대해 "일일 환자 250명 규모이며 물리치료 환자가 대부분"이라고 밝혔으나, 중대형 규모 병원에서 온누리상품권 고액 결제가 나오는 것은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온누리상품권 가맹 자격에 연매출 제한(30억원 이하)을 두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계류 중이다.
김 의원은 "도수 치료를 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큰 병원에서 수억원 결제가 나오는 게 취지에 맞는지 의문"이라며 "전통시장과 영세 소상공인 중심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의대 신입생 10명 중 4명은 여학생… 의약학계열 전반서 여성 비율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