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백년후 대구청사진

고속철도 대구구간 지상화반대여론이 들끓고 있다. 모처럼 지역국회의원이나지방의원들이 한목소리를 내고 있고 시민들의 마음도 하나가 된 것같다.지난 13일오후 서울.대구에서 동시에 열린 고속전철 대구구간 {지상화}에 대한 대구지역 민자당의원들과 고속전철 사업공단측과의 간담회나 공단측 비공개설명회에서 지역의 강력한 {지상화}반대의견이 전달됐다.이 자리에서 국회의원.지방의원.지역경제인들은 한결같이 남북분단고착으로인한 지역발전 장애, 환경공해등의 문제점을 들어 지상화의 절대 부가를 강조했다고 한다.뿐만아니라 대구시 구의회의장단들도 14일 간담회를 갖고 지상화철회를 정부측에 요구키로 했으며 관철되지 않을경우 반대서명운동을 펴기로 했다는 것이다.

지역민의 대변자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는 것같아 시민들은 어느때보다 마음든든해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반대목소리만 높여 대구시민들의 의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된다.

고속전철공단측이 간담회나 설명회를 가진것은 대구의 여론이 심상치않아 건설방식을 지상화로 변경한 것은 공사비절감을 위한 것이며 방음벽등을 설치,소음.진동을 환경기준치이하로 낮출 수 있다는 설득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또한 지상화 반대여론이 고조될 경우 현재 지하화로 추진되고 있는 부산과비교,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고 지상화 반대여론이 다른지역으로 번질 가능성도 없지않아 이를 사전에 봉쇄하자는 의도가 숨어있는 것 같다.이같은 배경을 미뤄볼때 고속전철공단측이 다분히 지상화계획을 밀고나가려는 속셈을 읽을수 있다.

대구시를 방문한 건설공단관계자가 ~건설방법에 대한 협의는 내년 상반기에실시 설계결과가 나온뒤에야 가능하다"고 말한 것도 건설계획을 수정할 의사가 없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대구시민의 의지를 관철시키기 위해선 실시설계전에 지상화 건설 계획을 수정, 지하화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에 충분한 의견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이렇게 되려면 지역출신 국회의원.지방의원.대구시.지역경제단체및 사회단체등 대구가 하나가 돼 좀더 다각적이고 치밀한 방법으로 지상화 반대운동을 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지역출신 국회의원들의 경우 관계부처와 당정협의등을 통해 충분히지역민들의 의지가 개진되도록 해야한다. 지방의원이나 지역경제.사회단체등도 고속철도를 지상화했을때 입는 대구시의 경제적 손실등을 구체적으로 연구검토해 관계부처에 제시하는등 적극적인 자세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 시민들의 목소리다.

공사비 2천83억원을 줄이려다 훗날 몇갑절 아니 상상도 못할만큼의 손실이난다는 것을 숫자로 나열, 정부관계부처및 공단측관계자들을 설득시켜야 한다.소음.진동으로 인한 환경공해의 심각성도 외국의 실례등을 찾아 조사되어야한다.

이렇게 해야만 고속전철 대구구간 지상화의 부당성을 항변하는 대구사람들의목소리가 지역이기주의가 아님을 분명히 할 수 있다. 1백년후 아니 그이상의대구청사진을 그려 지상화건설이 {절대부가}함을 지적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