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생색만 낸 구의원 고속철 지상화 반대

우여곡절 끝에 열린 {경부고속전철지상화 반대결의대회}가 결국 22일 오후2시 옥내집회(시민회관소강당)로 구의원 1백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0여분만에 조촐하게 끝났다.경부고속전철 대구구간을 지상화한다는 정부의 방침이 알려지자 대구시민들이 강력하게 반발, 여론이 들끓어도 구의회의원들은 처음엔 엉거주춤한 상태였다.

지난 14일이되어서야 결의대회개최.조사단구성등 대응책마련에 분주했다. 대구시 7개구의회는 그동안의 소극성을 만회하려는듯 시민들과 함께 호흡하려고애썼다.

당초 결의대회장소를 대구역광장으로 정하고 대회후에 가두홍보계획도 마련한게 그것. 대구역광장이 지하철공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결의대회개최 장소로 부적절해 옆에 있는 시민회관앞 광장으로 대회장소를 옮긴 것은 충분히 이해할수 있는 결정이었다.

그러나 문제의 시작은 20일 대구시서구평리동 H음식점에서 열린 7개구의회의장단모임이었다.

이곳에서 결의대회장소를 시민회관소강당으로 옮겼다. 참가대상자도 구의회의원으로 한정됐다. 물론 가두홍보계획도 계획으로만 그쳤다.시민들사이에 "구의회 의원들이 정치권 눈치보기 때문에 결의대회장소를 바꾸고 가두홍보계획을 취소한게 아니냐"는 소문이 나돌았다.{경부고속전철 대구구간 지상화반대}에 관한 대구시민들의 여론은 한결같다.이날 구의원 자신들이 채택한 결의문에도 이점은 잘 반영돼 있다."지역여론 무시하고 일방결정하는 중앙정부행태를 규탄한다" "대구발전 가로막는 시대착오적인 부실정책 철회하라"등.

대구시민들의 여론이 일치되고 구의원들도 이에 동감하는데 시민과 시민을대표하는 구의원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경부고속전철대구구간 지상화반대 결의대회}를 여는것이 점잖은 구의원들의 모양새를 그토록 훼손하는 것일까.대회가 마치자마자 썰물처럼 대회장을 빠져나가는 구의원들의 뒷모습은 지역민의 봉사자로서보다 {체면과 형식}만을 차리려 애쓰는 흔적으로 망막에 남아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